부천시 공익요원들의 자동차 과태료 횡령사건은 지난 95년 부천시청 세무비리 사건과 너무 흡사하다는 점에서 놀라움을 주고 있다. 더우기 도덕적 타락이 이제는 공익요원들에까지 이르러 도대체 이 땅에 부패가 얼마나 만연하고 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라는 점에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공익요원이라면 이제 갓 20살을 넘어선 젊은이들이다.아직 세상의 이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나이다. 그런 젊은이들이 부패의 수렁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사회 전반에 깔려 있는 도덕적 해이감이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부천시는 한때 우리사회에서 회자되었던 '세도비리' 라는 용어를 만든 진원지이다. 그런데도 또다시 부천시에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은 우리의 지방자치단체가 얼마나 타락했는지 그리고 얼마나 허술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보여준다. 이번 사건은 '세도비리'가 그랬던 것처럼 단지 부천시에만 국한된것은 아닐것이다. 문제는 바로 거기에 있다. 부천시가 횡령을 알면서도 이들을 고발하지도 않은 채 변상조치만 한 뒤 사건을 은폐한것으로 드러난 이상 어쩌면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이와 유사한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개연성은 충분히 있다.
 가뜩이나 최근 여야 국회의원들이 지방자치단체장을 도지사가 임명하는 '지방자치개정안'을 국회에 상정한 판이다. 이를두고 지방자치단체장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지만 반발만 하기에 앞서 이런일 하나 제대로 처리 못한데 대한 책임감부터 절감해야 할것으로 본다. 어차피 우리가 지방자치제를 도입한 이상 건전한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건전해야 한다. 그 건전함이 국가를 지탱하는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방자치단체의 공익요원들이 비리를 저질렀다면 이들을 감독해야 할 의무가 있는 구청, 나아가 시청은 도대체 무었을 했단말인가. 순간을 모면하기 위해 사건을 은폐하기에 급급한 것 아닌가. 이는 공익요원과 그들을 지도 감독해야 할 윗선들이 결국 한통속이 되어 야합을 했다는 느낌마저 들게 한다 .
 국민의 정부가 들어서서 '부패와의 전쟁'을 수없이 강조했지만 그 노력이 결국 공허한 메아리였음이 이번 사건으로 여실히 드러났다. 지금 우리 사회는 부패와 도덕적 해이 그리고 한탕주의가 만연되어 있다. 나라가 어떻게 되든 나만 잘살면 된다는 이기주의도 팽배해 있다. 말그대로 공공의 이익을 책임져야 할 공익요원들 조차 눈앞의 이익에 급급하고 있으니 이 나라는 도대체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