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수능이 다시 어려워진다고 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성동원장의 설명에 따르면 지난해 수능이 너무 쉽게 출제됐다는 것이다. 교육인적자원부의 해명 또한 코미디다. “지난해는 수능의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으며, 올해 난이도는 지난해 목표치에 맞추려는 것”이라는 것이다.
쉬운 문제는 배점을 높게, 어려운 문제는 낮게하는 `역배점' 방식까지 도입하면서 지난해에 수능의 난이도를 낮추려고 한 것은 그 목적이 학교교육의 정상화에 있었다. 어려운 수능으로 인해 학생들이 학원으로 내몰리고 학교교육은 황폐화된 현실을 바로잡아 보겠다는 것이었다.
정책은 어디까지나 목적에 비추어 평가되어야 한다. 목적이 학교교육의 정상화에 있고 그래서 난이도를 낮추겠다는 것이었다면 생각했던 것보다 목표치로 설정했던 것보다 낮게 됐다고 호들갑을 떠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사실 목적에 비추어 보면 지난해 결과는 목표의 초과달성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지난해 만점자가 66명이나 쏟아져 나왔을만큼 지나치게 쉬워서 변별력에 문제가 있었다는 논리도 있을 수 있는데 이것도 말이 안된다. 왜냐하면 쉽게 하면 변별력은 떨어지게 마련이며, 그렇게해서 입시에 있어 수능의 비중을 줄이자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일차적으로 학교성적, 학교생활이 기준이 되어야만 우리교육이 바로 설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수능은 오히려 더 쉽게 출제되고, 변별력을 더 떨어뜨려야만 하는 것이다. 수능의 변별력 수준은 학교간 성적수준의 차이를 판별해내는데 참고로 쓰일 정도에 그쳐야 한다. 그러지 않고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지금과 같은 우리교육의 왜곡은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정책추진에 있어 가장 나쁜 것은 어정쩡하게 우왕좌왕하는 것이다. 목적을 분명히 했으면 그에 부합되게 확실하게 방향을 잡고 일관되게 나가야 한다. 언제까지 우리교육정책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조령모개를 계속해야 하는가.
당장의 피해자는 학생들이다. 거창한 개혁구호를 내걸고 수능을 쉽게 한다고 해서 그에 맞추어 준비를 해왔는데 갑자기 다시 어렵게 한다면 정부를 믿은 사람은 손해를 보고 믿지않은 사람은 이익을 보게된다. 그래서 우리 교육정책은 아예 없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는 조소까지 나오는 것이다.
갈팡질팡 `대입수능'시험
입력 2001-03-23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1-03-23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진행중 2024-11-17 종료
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 대한 1심 선고 공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습니다. 벌금 100만원 이상의 유죄가 최종 확정된다면 국회의원직을 잃고 차기 대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됩니다. 법원 판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