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경제가 휘청거린다. 파주신용협동조합과 북파주 단위농협에서 잇따라 터진 대형 금융사고의 충격이 너무 크다. 파주신협 앞에서 “이제 어찌 살란 말이냐”며 울부짖다가 실신해버렸다는 영세상인의 이야기는 그 여파가 얼마나 깊은지를 웅변해 준다. 설상가상으로 쌀값을 비롯한 농·축산물 가격의 전반적인 하락세는 파주농민들의 시름을 더욱 깊게 만들고 있다. 지난 몇해간 거푸 몰아닥친 수해의 아픔을 간신히 딛고 일어서려는 시민들로서는 허탈하기 짝이 없을 터이다. 안타깝게 연속되는 시련이요, 위기다.
파주신협은 조합원 숫자가 무려 1만8천여명에 이른다. 이들 가운데는 금촌시장 노점상 등 '하루 벌어 하루 먹는' 상인들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 이들은 다른 금융기관보다 2~3% 높은 금리를 준다는 신협을 믿었다. 파주신협의 총자산 규모가 지난해말 현재 전국 1천200여 신협 가운데 자산순위 3위였다는 사실은 파주상권이 그만큼 역동적으로 형성돼 가고 있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그파주신협 경영진이 영세상인들의 희망을 배신했다. 그들이 신협에는 금지돼 있는 증권에 손을 대 150억원을 날리도록 감독기관들은 도대체 뭘 했는가. 문산지소 계장이 고객돈을 최소 11억원 이상 빼돌린 북파주 단협도 책임을 통감해야 할 것이다.
내년 5월까지 자금이 묶이게 된 신협 거래 상인들은 올 겨울을 어떻게 버텨낼지 걱정이 태산이다. 5천만원 이하의 예금은 보장이 된다지만, 당장 장사를 꾸려갈 자금줄이 막혔기 때문이다. 이들을 위해 예금보험공사를 통한 대지급이 가능한한 빠른 시일안에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제2, 제3의 사고설이 돌고 있는 타 금융기관에 대한 철저한 감사와 예방조치를 통해 지역경제가 더이상 타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일도 시급하다. 북파주 단협의 사고도 미봉적 축소에 급급해서는 안된다. 진상을 철저히 밝혀내고 또다른 횡령사고를 막을 방도를 마련해야 한다.
급성장하는 도시에는 크고작은 시련이 닥치게 마련이다. 파주도 이 정도 타격으로 주저앉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쉽지는 않겠지만 시와 시민이 굳은 마음으로 지혜를 발휘해서 이 위기를 넘어서야 한다. 실망하고 흐트러진 민심을 다시 추스르는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내지 않으면 안된다. 이 고비를 넘어서야 통일시대 경기북부의 거점도시라는 큰 비전을 성취할 수 있다. 정부와 경기도도 파주의 회생노력을 적극 지원해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