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특히 경기도의 인구가 걱정스럽게도 갈수록 급팽창하고 있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3/4분기 인구이동 집계결과는 수도권정책의 대전환이 시급하다는 위기의식을 새삼 일깨운다. 집계에 따르면 이 기간에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으로의 전입초과 인구가 4만1천명인데, 경기도로의 전입초과인구는 6만6천명에 이르렀다. 이를 해석하자면,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 경기도로 이주하는 인구가 많은데다, 서울에서 경기도로 이사하는 가구도 꾸준히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불과 석달 사이에 소도시 하나에 해당할만한 인구가 늘어났다는 얘기다. 특히 인구증가 전국 1, 2위를 차지한 용인시와 파주시의 경우 하루 100~200명씩 늘어나는 놀라운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다.
 3/4분기가 계절적으로 이사철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이같은 증가율은 심각한 비정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만한 인구를 감당할 일자리 교통 교육 치안 행정 등이 미처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집중현상만 가속화된다는 것은 경기도의 삶의 질 문제와 직결된다. 더욱이 경기도의 인구급증현상은 99년 하반기부터 꾸준히 이어지고 있고, 90년대말부터 지어지기 시작한 이른바 '난개발' 지역의 아파트와 택지개발지구의 입주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어서 우려를 더하게 한다.
 이같이 기형적인 경기도의 인구증가는 근본적으로 수도권집중 억제책이 실패했기 때문에 드러나는 현상이다.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서울보호책의 일환으로 시작된 수도권정책은 규제로 일관한 탓에 경기도가 주체적으로 균형잡히고 자연스러운 인구·산업 배치를 준비할 시간을 허용하지 않았다. 게다가 정부가 짧은 안목에서 수도권 신도시건설과 택지개발 등 주택정책을 폄으로써 경기도의 고민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개발붐에 편승한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건설업체가 '난개발'에 앞장서 인구유입을 부채질한 것도 사실이다.
 어쨌거나 인구급증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도는 몸살을 앓을 수밖에 없다. 서울지향적인 유입인구는 교통난 학교난 생활편익시설 부족 등으로 고통을 받으면서 열악한 주거환경에 불평을 쏟아내게 될 것이고, 기존 주민들은 그들대로 갈수록 나빠지는 삶의 조건에 불만을 갖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인구의 이동을 인위적으로 막을 수는 없다 하더라도 이에 대처할 수 있는 행정력과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실효성 있는 수도권정책으로의 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