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승남 검찰총장이 결국 자진 사퇴했다. 개인적으로 불명예스런 일이지만 국가적으로도 불행한 사건이다. 신총장의 퇴진은 검찰 본연의 임무인 수사를 제대로 못한데 따른 것이라 불가피했다. 그렇다면 이제는 앞으로가 문제다. “검찰이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말도 있지만 검찰은 공권력을 상징하고 있다. 이제 '검찰 바로세우기'가 발등의 불끄기처럼 시급한 과제가 됐다.
그동안 검찰은 정치적사건이나 각종 '게이트'가 터질때마다 수사의 공정성을 의심받아 온 경우가 많았다. 신승남총장 체제 역시 마찬가지였다. 검찰의 수사가 특별검사의 재수사로 뒤집히기도 했다. 또한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해서도 불신을 받는 경우가 드물지 않았다.
적지않은 검찰간부들이 비리사건과 관련해서 옷을 벗었고 전직법무장관과 현직법무차관이 구속되기도 했다. 이처럼 거듭된 수모를 겪으며 검찰조직이 큰 타격을 받고 흔들리고 있는게 현실이다. 이같은 '검찰위기'를 더이상 방치할 수는 없다. 검찰의 위기는 사회의 위기로 확대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검찰이 거듭나기 위해서는 정부의 과감한 대책과 검찰 스스로의 비상한 각오가 있어야 한다.
이와관련 무엇보다 강조되는 것은 검찰의 공정성 확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검찰조직이 깨끗해야 한다. 검찰간부들은 청렴결백해야 하며 검찰총장은 누구보다 강직하고 흠없는 인물이 돼야한다. 검찰에게 주어지는 권력과 명예 그리고 사회적 대우는 검찰이 나라와 사회의 질서를 지켜주기 때문이다. 검찰에 주어진 막강한 권력은 치부와 축재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원론적이고 초보적인 원칙들이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검찰이 불신을 받고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검찰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거듭나기 위해서는 '깨끗함'과 '정직'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다. 검찰조직의 관리와 인선등 모든대책과 처방은 여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또하나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은 검찰 스스로 다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치적 영향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정치권의 협조가 있어야 한다. 검찰이 심지어 '권력의 시녀'라는 소리까지 듣는 이유중 하나가 검찰의 권력 눈치보기 때문이라는 비판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신승남총장의 중도사퇴가 검찰이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고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