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 정왕동 오이도 일대의 사적지 지정을 놓고 수자원공사와 시당국 및 시민단체간의 마찰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시와 시민단체는 부분적인 원상복구와 함께 보전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택지개발사업 주체인 수자공은 최소 규모의 보전대책으로 맞서고 있는 것이다. 문화 유물유적이 발굴되면 늘 그러하듯 오이도에서도 예외없이 개발이냐 보존이냐를 놓고 한참동안의 논란이 불가피한 모양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오이도 일대의 사적지 지정은 빠를수록 좋다고 본다. 이유는 그동안 수 차례에 걸친 관계당국의 실사결과 이 지역이 보존할만한 충분한 역사적 가치가 있다는 결론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문화적 유산은 한번 파헤쳐 지고 나면 복원이 영원히 불가능한 현실에 비추어 보면 더욱 그렇다. 따라서 우리는 오이도일대의 문화유산 보존정책의 일대 전기를 마련키 위해서라도 정부가 서둘러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물론 오이도일원의 개발사업을 맡고 있는 수자공입장에서는 막대한 사업손실이 불보듯 뻔하겠지만, 그보다는 충분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은 유물 보존이 우선일듯 싶다. 만약 개인재산권이 침해되는 문제가 야기되면 정부가 충분한 보상을 해야함은 물론이다.
더구나 서울대박물관과 문화재청이 “오이도는 선사시대 및 백제·통일신라시대의 패총 유물 유구 등이 다량 출토된 문화유적의 보고”라는 결론을 내리고 이 일대 14만1천여평을 문화재 지정 예고구역으로 고시했지 않은가. 전후사정이 이쯤되고 보면 수자공의 주장은 억지로 밖에 볼 수 없는 입장이 된다. 왜냐하면 우리는 백제 도성으로 추정되는 풍납토성과 하남시 고대도시 유적지의 문화재 파괴행위가 초래됐던 사건을 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같은 일은 문화선진국의 시각으로 볼때 한국을 미개한 나라로 간주할 수 있을 정도로 참담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는 거의 모든 국토가 역사유적지라고 할 만큼 매장문화재가 곳곳에 널려 있다. 그러나 앞서 지적했듯 수도권에서 조차 우리의 소중한 유적을 국가가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다면 문제가 보통 심각하지 않다. 사실 그동안 수도권지역에서 크고 작은 택지개발사업을 벌이면서 발견됐던 수많은 문화유적들이 개발업자들의 고의로 마구 훼손되거나 파묻혀 버린 사례는 숱하다는 게 문화재계의 정설이다. 맞는 말일 것이다. 이번 기회에 문화재관리에 대한 법적 제도적 보완책 마련을 서둘러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