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 매각협상이 3년간의 우여곡절끝에 마침내 타결됐다. 우리나라는 물론 지역경제의 대표적 부담이었던 대우자동차 문제가 해결의 가닥을 잡게 된 것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따라 대우그룹에 대한 처리뿐아니라 우리경제 전반에 걸친 대외신인도 향상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번 매각에서 GM이 실제로 지불하는 금액은 4억달러에 불과하고, 6개월간 특별소비세 납부를 유예시켜준 점 등으로 헐값 매각과 특혜시비가 제기될 여지를 남겨 놓고 있다.
특히 대우자동차 부평공장 문제가 매끄럽게 해결되지 않아 마냥 반길 수만은 없다. 때문에 이번 협상타결이 대우차문제를 모두 해결했다고 보기에는 너무 이르다는 평가와 함께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절반의 매각'임을 분명히 짚어야 할 것이다. 일부 긍정론자들은 GM측이 제시한 조건들을 충족시켜주면 당초 예상보다 빨리 부평공장을 인수할 가능성도 높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이 또한 현단계로서는 예단키 어려운 일이라고 본다. 바로 이런 부분들이 이번 협상에서 우리가 GM측에 지나치게 끌려다닌 결과가 아닌가 싶다.
부평공장은 지속적인 구조조정과 생산성 향상 등 배전의 노력을 통해 GM의 인수 대열에 다시 합류해야 함은 물론이다. 이번 협상의 최대 걸림돌로 지목됐던 단체협약을 대우차 노사가 한걸음씩 양보해 타결한 것은 의미있는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이 처럼 노사가 한마음으로 오늘의 부평공장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해나가면 좋은 결실을 맺을게 분명하다. 아울러 대우차 정리채권 문제를 우선 해결하지 못해 매우 유감스럽다. 대우차 부도이후 1조4천억원에 달하는 정리채권중 40%만이 환수되는 바람에 협력업체들의 경영악화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한 것같아 안타깝다.
더구나 이번 협상에서 온갖 특혜를 받은 GM이 대우차를 단순한 하청생산기지로 전락시켜서는 안되겠다는 점이다. 정부나 채권단은 오늘의 대우차를 아시아 태평양지역의 GM측 생산거점화 하도록 적극 유도해야 할 것이다. 세계적인 GM의 기술력과 마케팅을 조화시킬 때에만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동시에 우리경제의 새로운 원동력으로 승화될 수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정부와 채권단은 그간의 매각과정에서 미숙한 협상력으로 많은 허점을 드러내는 바람에 국민경제에 그만큼 부담을 주어온 사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