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의 인구 급팽창 현상이 갈수록 심화돼 이에따른 후유증이 걱정스럽다. 통계청이 9일 밝힌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집계 분석결과, 현재 정부나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수도권 정책은 수년내에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으로 전락할 것으로 우려된다.

통계에 의하면 경기도는 오는 2004년 서울 인구를 초과하면서 1천7만7천명으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단체가 될 것이라고 한다. 또 통계는 인구수가 2020년 1천272만명으로 매년 폭발적으로 늘어나 전체인구 가운데 4명 중 1명이 경기도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함께 인천도 오는 2020년도에 300만명을 육박, 전국 5위에 들어가는 명실상부한 대도시로 위치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통계청이 밝힌 이같은 인구 동향은 타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유입되는 수치를 제외한 단지 수도권내 인구이동 결과여서 타지의 젊은 층이 이곳으로 집중적으로 몰릴 경우 앞으로 18년후면 전국민의 5분의 2가 경기·인천지역에 밀집할 것으로 통계는 밝히고 있다. 때문에 인구 과밀화 문제는 시간이 갈수록 그 심각성과 폐해가 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구 팽창은 필연적으로 각종 도시문제를 수반, 현재도 몸살을 앓고 있는 수도권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다. 즉, 도시기반 시설은 물론 실업, 교통, 교육, 주택, 행정, 치안, 환경 등이 방치된채 집중현상만 가속화되면 경기·인천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은 지속적으로 악화될 것이 명약관화하다. 지금도 경기도내의 신도시나 난개발 지역 주민들은 편의시설은 고사하고 교통난을 비롯해 치안대책등 뭐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다며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인구집중에 따른 졸속 도시개발은 난개발로 인한 기형도시를 탄생케하며 도시문제만 심화시켜 주민들 고통만 가중시킬 뿐이다.

어쨌거나 경기도와 인천은 인구 집중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을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대책없이 안이하게 방치할 수도 없는 문제다. 인구의 이동을 인위적으로 막을 수는 없다 하더라도 이에 대처할 수있는 행정력과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실효성 있는 수도권 정책으로의 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제부터라도 정책당국과 관련 지자체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