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이 4일 금강산 실무접촉에서 제7차 남북 장관급회담을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에서 개최키로 합의했다. 그동안 남북 당국간의 모든 공식 회담은 실제적인 성과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한반도의 긴장완화가 목적이라는 점에서 개최될 때마다 국민적 관심을 받았던 것이 사실이다.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이번 남북 장관급회담 역시 환영하면서 남북간의 긴장완화와 교류·협력에 관한 구체적인 합의가 나오기를 희망한다.
장관급 회담에 앞서 열린 금강산 실무접촉에서 북측이 부산 아시안게임에 참가하기로 하고 남측이 편의를 보장키로 합의한 것은 체육분야에서의 남북교류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8·15 서울 민족통일대회'와 '9월 축구경기'에 대한 남북 당국의 공동지원을 약속한 대목도 마찬가지다. 이런 사전 합의들이 이번 장관급 회담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여주고 있기도 하다. 특히 이번 회담이 북측의 전격적인 제의에 따른 것인데다, 북측의 회담 제의 배경이 남북관계 진전이라는 바탕에서 경제개혁 조치와 남북관계 원상회복, 대외관계 복원을 성공시키려는 판단에 의한 것이라는 분석을 신뢰한다면 회담에서 구체적인 성과가 나올 가능성이 그 어느때보다 높아 보인다.
우리가 기대하는 구체적 성과의 핵심은 '남북간의 긴장완화'다. 서해교전 사태로 남한 국민들의 대북관은 상당히 보수적인 경향으로 바뀌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북측은 장관급회담에서 이같은 남한 정서를 다시 복원시킬 만한 긴장완화 조치를 내놓아야 할 것이다. 그래야 서해교전 이전의 남북관계를 원상회복 시킬 수 있고, 그 바탕위에서 새로운 남북 교류·협력 방안을 논의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와관련 북측은 이번 장관급 회담에서 서해교전 사태에 대한 분명한 입장표명과 경의선 철도연결 등 기왕의 남북합의에 대한 실천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남측 역시 원하는 합의내용은 당당하게 관철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는 북측이 순조로운 경제개혁을 위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외부자본 및 기술도입이 불가피한 만큼, 향후 남북관계 개선에 기대를 걸어도 좋다는 정부당국자들의 현실진단이 이번 회담에서 증명되기를 기대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번 회담 역시 항상 합의의 준수가 문제됐던 지금까지의 남북대화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비난에 직면할 것이기 때문이다.
'남북 긴장완화' 구체적 합의 기대한다
입력 2002-08-04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2-08-04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