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수원시가 추진하고 있는 수원시 이의동 개발계획에 대해 두 방향에서 제동이 걸렸다.

우선 시민단체들이 무모한 초고층 아파트 1만8천세대 건립을 강력하게 규탄하고 나섰고, 계획승인권을 갖고 있는 건설교통부조차 최근 환경성 검토와 난개발 방지책 미흡 등을 이유로 수정·보완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들을 상식적으로 납득시키기 어려웠던 계획이 이제라도 재검토될 수 있게 된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경기도와 수원시는 지난해 11월 이의동 계획을 내놓을 때부터 자충수를 두었다. 2001년 수원시가 이의동에 컨벤션센터와 2천300세대 규모의 아파트를 짓겠다고 했을 때 주거지 과다를 이유로 계획자체를 불허했던 경기도가 불과 1년만에 그 8배에 이르는 아파트단지를 포함한 계획을 추진하고 나선 것은 명백한 이율배반이다.

도와 시 사이에 '시민들이 모르는 흑막'이 있지 않고서야 이런 일관성 없는 행정이 이뤄질 수 없을 것이라는 의심마저 든다.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한 개발'이라는 명분도 설득력이 전혀 없다. 난개발 방지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야 할 자치단체가 난개발을 막기 위해 과도한 개발을 하겠다는 것을 누가 믿어줄 것인가.

서울 도곡동의 타워 팰리스처럼 40~60층 짜리 마천루식 아파트를 짓겠다는 발상도 해괴하다. 이게 어떻게 자연친화적인 개발인가. 건물이 위로 솟는 것은 가용토지가 부족한 도심개발 과정에서나 쓰는 고육지책이지, 수원의 마지막 녹지대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적은 면적에 아파트를 짓고 녹지를 많이 남겨두기 위한 방법이라고 강변하고 있으나, 그것은 그곳 아파트 입주자들을 위한 특혜일 뿐이다.

또한 초고층 아파트가 초래할 환경·교통문제는 어떻게 할 것이며, 세계문화유산 화성의 외곽에 흉물스런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서도 정말 괜찮다고 믿는 것인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

이의동 340만평을 자족형 복합 신도시로 건설하겠다는 비전 자체는 그럴싸해 보인다. 하지만, 이미 조짐이 드러났듯이 이의동 개발이 3조원이 투입되는 '부동산 이권사업'의 대상으로 변질되어서는 안된다.

100만 수원시민의 '허파'인 광교산 자락을 어떻게 환경친화적으로 가꿔나갈 것인가를 검토하고 또 검토해서 신중히 접근해 나가야 할 문제다. 경기도와 수원시는 원점에서부터 다시 시작해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