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초입에 들어선 날씨가 점차 쌀쌀해 지고 있다. 따라서 올해도 대형화재의 사전예방점검과 차단에 만전을 기해야 함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특히 요즘은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대형화는 물론이고 아까운 인명을 희생시키는 사례가 빈번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주택가나 상가의 경우도 물론이지만 특히 공단등 공장이 밀집한 지역에서의 대형화재는 이들 대부분이 너무도 급속히 번지는 과정을 밟고 있어 그 원인에 대한 논란이 만만치 않은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결국 산업체가 몰려있는 공장지대의 화재는 규모나 인명손실의 중요성에 비춰 보다 정직한 소방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같은 화재의 대형화 현상을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 대형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건축물 자재인 샌드위치 패널의 사용범위 업소 확대 방안을 두고 얘기의 대상이 되고 있다. 건교부는 지난달 공장건축물의 내부 마감재 사용 허용업종 범위를 대폭 완화하는 조치를 취했다. 기존의 25개 업종에서 123개 업종으로 확대한다는 '건축법 시행령 및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개정안'을 입법예고한 상태다. 건교부는 영세업체들의 부담을 덜어 생산활동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차원이라고는 하나 여론은 몰라도 한창 모른다는 반응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소방전문가들 조차 샌드위치 패널의 사용 완화는 밀집된 공장의 건물구조에 의한 취약성을 가중시키는 한편 대형화마를 항상 옆에두고 있는것외 다름아니라는 지적을 당국은 귀담아 들어야 한다. 한번 발화하면 걷잡을수 없는, 인체에 치명적인 유독가스를 내뿜는 자재의 사용을 적당히 판단하는 행위는 연구가 결여된 정부의 안일한 자세라는 비판과 우려를 나타내는 것도 무리는 아닌것 같다. 그런가 하면 일선 소방관계자들은 소방점검을 악용한 것이 드러나 인천지역에서만 경찰에 무더기로 적발되기에 이르렀다. 지난99년 인천술집화재로 엄청난 인명이 손상된 악몽이 새롭게 떠오르는 상황이다.

또 다시 작금에 우리사회 곳곳의 안전불감증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이해가 안되는 정부의 완화조치와 일선에서의 단속 허술은 종래는 국민을 불안케하는 요소가 될것이라는 짐작이다. 차제에 정부와 소방관계자는 정책입안을 비롯한 사전 소방점검은 곧 국민의 재산과 생명이 직결된다는 점을 한번 더 판단하는 신중함과 아울러 막중한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