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이 한달 이내로 다가옴에 따라 표밭이 뜨거워 지고 있다. 특히 이번 총선은 헌정사상 유례가 드문 대통령 탄핵정국과 겹치면서 열기의 강도가 그 어느 때 보다 폭발적이다. 이성적인 국민들은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선거가 대통령에 대한 찬반 기준만으로 치러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선거는 치러져야 하고 그것도 깨끗하게 치러야 한다는 것이 국민적 합의이다. 17대 총선에서 금권선거를 뿌리 뽑아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돈선거는 민주주의를 해치는 암적 존재이다. 돈으로 표를 사고 팔아 민의를 왜곡하는 것은 어떠한 경우라도 결코 용서받지 못할 행위다. 금권선거가 우리의 대의민주주의에 얼마나 큰 해를 끼쳤는지 생각하면 끔찍하다. 민주주의의 기본인 선거의 공명성을 훼손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정당정치의 발전을 가로막았던 원흉이다. 지금은 고무신에 한표를 넘겼던 50, 60년대도 아니고 한끼 식사가 아쉬운 시절도 아니다. 우리가 그 시절에서 배울 것은 매표 행위가 부정부패를 키우는 주요 원인이 되었고 국민을 안중에 두지 않는 정당들을 양산했다는 점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7일 정당집회에서 식사를 제공받은 유권자들에 대해 무더기로 50배 과태료 처분을 내렸다. 개정선거법에 따른 첫 사례이다. 졸지에 고액의 과태료를 물게된 당사자들에게는 다소 가혹할 수 있으나 시대의 변화를 읽지 못한 책임을 면할 수 없다. 유권자 모두 개정선거법에 담긴 금권선거 척결 의지를 알아야 한다. 과거의 악습을 떨쳐버리지 못하면 언제고 봉변당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계기다. 얻어먹어도 탈이 없었던 과거는 끝났다. 한발 더 나아가 유권자 스스로 구차한 과거를 끊어내는데 앞장서야 하는 시대가 왔다.
 
이참에 금권선거는 확실하게 끝장내자. 이런 시대적 요구에 온 국민이 힘을 모아주어야 한다. 선관위의 불법 감시에 전체 유권자가 동참해야 하는 것이다. 정치권이 싫다고 냉소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정치풍토를 만들어 내는 역동성을 발휘해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사는 세상이 밝아진다. 국민 모두가 정치권의 거대한 불법자금 비리에 치를 떤 끝에 만들어낸 개정선거법 정신이 공명선거다. 이같은 법정신과 사회적 합의를 무시하는 국민은 새로운 역사의 대열에서 제외될 수 밖에 없다. 불법 금권선거를 이땅에서 영원히 추방시킬 수 있는 주역은 국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