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소문으로만 무성히 떠돌던 정보화촉진기금의 사용 실태와 이에따른 담당 직원들의 부패가 감사원 감사결과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감사원이 밝힌 정통부의 기금 사업 집행실태를 면밀히 검토해 보면 담당자들이 기금을 쌈짓돈인양 마구 집행하고 댓가로 업체의 주식을 받아 챙겨 차익을 올리는 등 축재의 방편으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 정통부의 윤리성에 의구심마저 들 정도이다. 이를 근거로볼 때 이들 임.직원들의 비위가 빙산의 일각이 아닌가 하는 느낌마저 들게 한다.
 
감사원은 어제 정보화촉진기금 사업 집행실태 감사에서 정통부 국장급(3급)을 포함한 직원 7명을 비롯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명, 정보통신연구진흥원 3명, 한국디자인진흥원 3명, 국립대 교수 2명의 주식 부당취득 사례를 적발, 이가운데 비위사실이 중대한 13명은 검찰에 고발했다고 한다. 이들은 기금을 신청한 업체를 상대로 공공연하게 회사 주식을 무상으로 요구하거나 헐값에 매입, 수억원에서 수천만원씩의 매매차익을 올렸다고 감사원은 전하고 있다. 여기에 이들은 수십억원의 기금을 임의로 대기업 주식투자에 투입하고 수백억원을 한국정보통신대학원 기숙사 설립에 전용하는 등 기금을 엉뚱하게 사용해 빈축을 사고 있다.
 
기가막힐 노릇이 아닐 수없다. 이들의 축재 수단에 혀를 내두르를 수밖에 없고 기금을 기금을 마음대로 사용한 이들의 도덕적 해이를 이젠 탓하기도 지칠 정도이다. 이들의 부패 비리 사실이 한두번이 아닌데도 이런 일들이 연이어 터지고 있기 때문이다. 패스 21일부터 시작된 이들의 연이은 부도덕성은 국민적 공분마저들게 한다. 이번에 문제가된 정보화 촉진 기금은 정보화 촉진및 정보.통신연구개발등에 투자해 최강의 정보 인프라를 구축을 목적으로 정부가 IMT-2000 사업자를 선정하면서 참여 사업자들로부터 출연금으로 1조3,933억원을 걷어 조성한 금액이어서 그렇다고 할 수있다..
 
그러나 차세대 성장동력 개발을 주도하며 IT강국을 자부하고 있는 정통부가 매머드급 공무원 비리에도 평소와 다름없는 느긋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배반감마저 들게 하고 있다. 정통부의 대응은 자성하고 국민들에게 용서를 구하기는 커녕 오히려 태연자약한 모습에서는 분노까지 치밀게 하고 있어서이다. 정통부는 빠른 시일내 국민에게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보다 확실한 대책을 마련하기를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