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0년 내에 수도권에 전력대란이 닥쳐올지 모른다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설비용량을 기준으로 현재 수도권 전력공급량의 4분의1을 담당하는 화력발전소들이 준공 20년을 넘겨 가동중단을 코앞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33년 전에 지어진 서울화전은 2012년, 70~78년에 세운 인천화전은 2015년, 평택 1~2호기는 2011년, 3~4호기는 2014년 무렵이면 폐지결정을 내려야 할 처지라고 한다. 게다가 우리나라 화전에 가장 많은 연료를 공급하고 있는 중국측 시장의 요동으로 유연탄 공급마저 불안한 실정이다.
 
그렇지 않아도 여름철마다 전력수요가 사상 최대치를 갱신하는 등 전력수요가 연평균 10% 가량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대책없이 이들 화전이 멈출 경우, 수도권은 산업과 생활 양면에서 치명타를 입을 수밖에 없다. 결국 발전소를 증설해 대처하는 수밖에 없으나 문제는 발전소를 짓기가 쉽지 않다는데 있다. 화력발전은 환경오염으로 인해, 원자력발전은 안전성 논란으로 인해 번번이 강력한 반발에 부딪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천 영흥화전 1호기는 지난 8월 첫 가동에 들어가자마자 오염물질 배출 때문에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배출농도가 환경협정 기준치를 초과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증설·가동 예정인 2~4호기에는 더욱 엄격한 환경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이미 예정된 4호기 이상 짓는 일은 절대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원전의 경우도 신고리 및 신월성 발전소가 각각 22개월, 18개월 씩 공사가 지연되고 있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한국전력공사와 산하 자회사들이 방만한 경영을 계속해왔다는 지적이 제기돼 충격을 더해 준다. 지난 2001년 발전분야를 분할한 이후 임원은 5배로, 인건비는 62% 늘리는가 하면, 발전소의 부품을 납품업자와 짜고 이중삼중으로 구매했다는 의혹도 나왔다. 다가올 전력대란에 대비해 온갖 지혜를 짜내도 어려울 판에 제몫챙기기와 나눠먹기에 급급했다면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다. 이런 꼴로 어떻게 지역주민들에게 발전소 신·증설의 시급성을 설득하고 협조를 구할 수 있겠는가. 한전은 이를 명쾌하게 해명하는 동시에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먼저 보여주어야 한다. 정부도 전력산업 구조개편을 포함해 전력공급 체계를 총체적으로 점검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