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환자(AIDS·후천성면역결핍증) 관리에 구멍이 뚫렸다. 특히 경기도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에이즈 환자나 양성반응 감염자의 관리는 엉망이어서, 최종 판정을 받은 환자가 잠적해 행방이 오리무중인 채로 방치돼 있다고 한다. 따라서 에이즈 확산 방지를 위한 효과적 대응은 고사하고 이들로 인한 내국인 감염자가 추가로 발생이 우려되는 등 경기도의 에이즈 환자 관리대책이 허술하기 짝이 없다는 지적이다. 에이즈의 심각성에 비추어 볼때 사회적 충격을 주기에 충분한 일이다.
1일자 본보 보도에 의하면 지난 2000년부터 경기도가 도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에이즈 감염자를 파악해 관리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바이러스 양성반응을 보인 외국인수는 120명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이들 가운데는 자국으로 돌아간 외국인이 상당수 되지만 나머지 40여명은 어디론가 사라지거나 이런저런 이유로 추가검진를 회피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더욱이 재확인을 어렵게 만드는 16명도 문제지만 이미 에이즈 환자로 판명된 29명이 행정당국의 통제선을 벗어난 것이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에이즈 확산이 발등의 불이 된지 오래다. 유엔 보고서에 의하면 세계적으로 에이즈에 새로 감염되는 사람이 매일 1만5천명에 사망자수가 8000명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올 9월까지 내국인 감염자가 455명으로 전년 동기 14.3%가 증가했다. 이는 국내 총감염자 2944명중 591명이 사망한 뒤의 현황이다. 유엔의 위험 경고가 연신 발해지고 있지만 후진국일수록 에이즈 확산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의 에이즈 정책은 어떤가. 여전히 답보 상태에서 한치도 진전이 없다. 얼마전 시중 병원과 제약회사에 에이즈 감염혈액이 버젓이 공급되며 사회를 혼란속에 빠트렸던 일이 대표적이다. 당장의 외국인 환자 관리는 고사하고 일반적인 행정조차 여기저기 허점투성이로 나타나 더이상 에이즈 관리체계를 믿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현행법상 국내에 체류중인 외국인은 에이즈 감염이 밝혀지면 강제출국토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이 피하고 잠적하면 별다른 대책이 없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미온적 대응이 미래의 재앙을 키우고 있는 형국이다. 앞으로도 외국인 산업종사자가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더 큰 사회적 재앙이 되기 전에 제도적 안전장치를 확실히 해두어야 한다.
에이즈관리 이렇게밖에 못하나
입력 2004-11-02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4-11-02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