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SK가 물류센터 부지로 사용해온 인천시 남구 용현동 일대의 토양이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와 관련된 의혹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인천시 남구와 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지난달 용현5동 SK 물류센터 부지의 토양 오염도 측정 결과 12개 지점 가운데 4곳에서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우려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지점에서는 인체에 흡수되어 뇌와 신경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유기화학물질(BTEX)의 대책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는 본란을 통해 이미 이 일대를 주거용지로 변경하여 대규모 주거단지로 개발하려는 인천시의 계획이 전면 재검토되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 일대는 아파트 건립은 물론 녹지 조성도 불가능한 땅으로 판정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SK측은 유류저장시설에 대한 지금까지의 자체조사에서 단 한번도 토양오염 사실이 밝혀지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해명은 오히려 그동안 토양오염조사를 제대로 실시하지 않았거나 조사결과를 은폐했을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SK측은 토양오염 사실을 축소하거나 호도하기 위한 변명을 늘어놓을 것이 아니라, 공장 부지에 대한 신뢰성 있는 오염실태조사를 즉각 재실시해야 할 시점이다. 그리고 독성물질로 오염된 토양은 책임지고 복원해야 한다. 이 일대의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데는 최소 3년의 기간과 300억원 가량의 비용이 투입되어야 한다고 한다. 그동안 얻은 이익을 지역 사회에 환원하지는 못할망정 독성물질로 오염된 땅을 주민들에게 남겨서야 되겠는가? 인천시와 시민단체들도 SK 측의 정밀실태조사와 토양의 복원과정을 감시하고 검증해야 할 것이다.
 
인천시 남구 및 부평구 일대는 70년대 이래 수출공단으로 개발되었다가 최근 주거지나 상업지구로 재개발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남구의 경우, 용현동 일대의 동양화학(주)의 폐석회 처리 문제를 비롯 문학산 일대의 미군 주둔지의 토양오염 문제를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도시계획을 변경할 때 토양오염 조사를 엄격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예산 낭비는 물론 계획 자체의 차질을 빚을 수 있다. 폐석회로 오염된 땅을 청사부지로 매입하였다가 낭패를 본 옹진군의 경우가 대표적 사례이다. 거듭되는 토양유류오염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오염실태조사와 토양복원을 기업에 맡겨두고 있는 이른바 ‘자율적 협약제도’에 대한 재검토도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