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경기도내 각 지역의 축제는 힘겹게 치러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도가 긴축예산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축제지원 예산을 전액 삭감했기 때문이다. 도는 그동안 3천만~3억원까지 지원하던 지역문화예술제와 국제규모 축제 지원금을 내년에는 한푼도 책정하지 않았다. 반면, 일정·규모·내용이 아직 공표되지 않은 평화축전에는 무려 82억원을 배정했다. 살림이 어려워지면 문화관련 예산부터 삭감하고 보는 구시대적 발상과 거창한 한 건에 올인하는 문화적 도박심리가 이런 결과를 낳은 듯하다.
 
이렇게 되면 도비와 시·군비로 빠듯하게 치러지는 지역문화예술제는 큰 위기를 맞게 된다. 도 살림보다 더 어려워질 게 뻔한 시·군 형편으로는 마지못해 형식적인 껍데기 행사를 치르지 않을 수 없을 터이다. 백보 양보해서 경제가 어려우니 지역문화예술제 쯤이야 한 해 정도 대충 넘어갈 수 있다고 치자. 하지만, 각 지역이 공들여 키워왔고 이제 막 국제적인 축제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행사들이 지원삭감으로 받을 타격은 자칫 치명상이 될 지도 모른다.
 
2012년 세계민속축제 유치를 바라보고 있는 안성 바우덕이 축제, 경기북부의 유일한 국제음악제로 발돋움중인 의정부 국제음악극축제, 끊임없는 잡음과 마찰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연륜을 쌓아가고 있는 남양주 세계야외공연축제 등 자생적 국제행사들을 적극 활성화시키지는 못할 망정 어려움에 빠뜨리는 것은 도가 취할 자세가 아니다. 더구나 이들 축제를 2005 경기방문의 해 10대 대표축제로 선정을 해 놓고도 도비 부족을 내세워 지원을 없앤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문화행정이다.
 
도로서는 어차피 부족해진 문화예산을 한곳에 집중해 평화축전이라도 성공적으로 치러놓고 보자는 계산을 한 것으로 보인다. 10대 대표축제는 경기관광공사 등을 통해 간접지원을 하면 될 게 아니냐는 속셈인 듯하다. 하지만, 평화축전이 84억대 0이라는 예산배분을 정당화할만큼 성공가능성이 검증된 행사인지 의문이다. 또한 경기방문의 해 설정의 근본목적이 경기관광과 문화의 저변확대라면 이미 곳곳에 뿌리내린 축제를 제쳐두고 단발성 이벤트로 그칠 수도 있는 행사에 집중지원해도 되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도가 다른 이유 때문에 평화축전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면, 누가 봐도 수긍할 수 있도록 균형을 다시 잡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