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로 점차 피폐해지고 있는 농촌학교를 살리기 위한 정책은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이 공동으로 벌이고 있는 야심찬 계획이다. 이른바 소규모학교 지원사업(돌아오는 농촌학교 육성사업)으로 불리는 이 계획은 2003년부터 올해까지 2년간 335억이 투자됐고, 앞으로도 교육환경개선을 위해 2천억원 이상을 투입하는 대형 프로젝트이다. 타시도에서 감히 생각하지 못하는 지자체와 교육청의 교육협력사업으로 지역주민들의 기대가 크다.
 
경기도는 학교수와 학생수에 있어 서울을 능가하는 전국 최대 규모로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교육여건은 날로 악화되고 도시와 농촌간의 교육격차가 심화되는 또다른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와 도교육청은 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한 농어촌교육여건 개선을 목적으로 농촌학교 50교와 농어촌·중소도시 좋은 학교 만들기에 23개교를 선정해 883억을 투자하고, 지식사회에 적합한 인재육성, 튼튼한 공교육 기반구축 등에 987억을 투자키로 하고 교육협력사업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학교의 경우 사업추진과정에서 문제점이 발생돼 사업계획이 갑자기 변경되거나 추진이 미뤄지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사전에 치밀한 추진계획 없이 사업에 나섰다가 학교가 상수원보호구역이나 그린벨트 지역에 위치해 어려움을 격고 있는 대상학교들이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남양주 J초등학교는 1억여원을 들여 다목적 학습관을 건립한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뒤늦게 상수원절대보호지역으로 건물의 신축허가가 불가능해져 도서실과 보건실, 숙직실 개보수로 사업내용을 바꿨다. 김포 G초등학교는 올해말 그린벨트 해제를 전제로 학교 인근 부지에 다목적 생활관과 골프연습장을 세우려 했으나 그린벨트 해제계획에서 제외되면서 사업계획을 변경중이다. 평택 S초등학교는 테니스장 조성사업을 추진하다가 '부지가 모자란다'는 이유로 사업추진을 보류한 상태다.
 
이렇듯 학교측이 의욕만을 앞세운 나머지 까다로운 법적 기준이나 절차를 간과한채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사업계획이 속속 변경되는 사례들이 노출되고 있다. 학교의 입장에서 보면 교당 지원되는 6억이 넘는 사업비가 탐나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무작정 시설투자나 지원금 수혜를 목적으로 '주먹구구'식으로 사업을 신청해서는 곤란하다. 경기도나 도교육청도 일선학교의 신청을 접수받는 과정에서 보다 치밀한 사업내용의 검토를 통해 원활한 사업추진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