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수백만명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등 승강기의 안전관리시스템이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이 국회 산업자원위원회에 제출한 자료를 통해 드러났다. 이 자료에 따르면 올해 초 실시한 약 4만8천대의 승강기를 안전검사 결과 67%인 3만2천여대만 합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통계를 원용하면 검사에서 제외된 전국의 승강기 중 33%는 안전기준에 못미친 상태에서 운행중이라는 얘기가 된다. 대표적이고 일상적인 다중이용시설인 승강기가 이처럼 불안정한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니 심각한 일이 아닐수 없다.
 
지난해 119 구조대가 출동해 승강기 사고로 부터 구조한 인명이 1만2078명이라 한다. 이는 1위인 교통사고 1만8870명에 근접한 2위로 승강기 사고가 일상사의 위협임을 보여주는 통계이다. 더욱이 승강기와 자동차 보급댓수로 비교해 보면 승강기로 인한 출동이 교통사고에 비해 무려 20배에 달한다고 하니 국민들은 언제든지 사고에 노출될 위험을 무릎쓰고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도 불량 승강기 운행을 가능케 하는 후진국형 승강기 관리체계가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안보이니 걱정이다. 3대중 1대 꼴의 불합격율이라면 우선 승강기 제조과정의 안전장비 설치 기준이 합당한지 의문이다. 더 어처구니 없는 일은 승강기 설치 이후의 관리나 교체가 전문인력의 관리와 감독없이 이루어지는 일이다. 이와관련 국회에서 승강기 교체 공사시에도 전문가 감독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하니 다행이지만 한해 평균 1만명 이상의 국민이 승강기 사고를 당하는 나라 치고는 그 대응이 너무 늦은 것 아닌가 싶다.
 
모든 건축물이 수직상승을 지향하는 추세가 수십년 계속되고 있는 우리 현실에서 승강기는 외면할 수 없는 생활의 이기이다. 따라서 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 정부의 할 일임은 당연하다. 정부가 신설승강기에 대한 안전대책을 강화키로 한 것도 승강기 사고가 방치할 수준을 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는 해마다 늘어가는 노후 승강기에 있다. 주민들의 외면과 현행법규의 허술한 관리규정으로 땜질식 수리만을 반복하면서 불안한 운행을 계속하고 있다. 공동주택 노후 승강기의 경우 교체비용을 저리융자하는 방안을 포함해 획기적인 승강기 종합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