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인사 공덕비를 어떻게 해야하나. 인천지역이 을사오적 박제순의 공덕비를 두고 때아닌 존폐논란 시비에 휘말리고 있다. 인천시 남구 문학동 인천도호부청사의 한컨에 역대 인천부사(시장)의 공덕비 18기가 나란히 보전되고 있는데 이곳에 박제순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대한제국 대신으로 을사늑약을 주도한 대표적 매국노의 공덕비가 인천부사를 지냈다는 이유만으로 최근까지 아무런 조치도 없이 버젓이 공덕비 속에 섞여 있느냐는 것이다. 철거 논란 이전에 부끄러운 일이 분명하다.
우리나라는 올해로 해방 60년을 맞고 있다. 따라서 사회 분위기는 여느때보다도 일제청산이 강조되며 친일잔재의 처리문제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는 철저한 반성속에 어두운 과거를 걷어내고 새로운 역사를 위해서는 모든 일제잔재는 일단 털어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한쪽에서는 역사는 역사로만 인식하고 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옳다고 한다. 친일이나 일제잔재의 청산에는 모두가 찬성하나 아직은 방향에 대한 뚜렷한 사회적 합의가 성숙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런 시점에 공교롭게 등장한 박제순공덕비는 보전이냐 폐기처분이냐를 놓고 여론을 크게 갈라놓고 있다. 인천은 이미 법정동 명칭으로 바뀐 송도 때문에 홍역을 치른 바가 있다. 지역학계와 시민·사회단체가 일제히 일제명칭의 법정동화를 반대하고 저지운동에 나섰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관이나 시민단체 모두는 흐지부지 아무런 결론도 내리지 못한채 어정쩡한 입장이다. 이문제도 쉽게 해결될것 같지가 않다. 무작정 철거가 우선인지 별도의 설명으로 교육재로 남길것인가가 논란의 대상이다.
분명하고 명쾌한 사실은 박제순은 우리역사에서 용서받지 못할 을사오적의 1인이다. 공덕비의 적절한 조치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시민단체가 공덕비 앞 시위를 예정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철거부터 하고 보자는식은 고려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공덕비 옆에 안내판을 세우고 친일상을 구체적으로 알려 후세에 역사의 산교육장을 만드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상당히 이성적이란 판단이다. 뼈아픈 역사를 지우고 없애며 애써 외면하기 보다는 전철을 잊지말자는 의미에서도 교육재 활용은 구체적 대안이 아닐수 없다. 다만 그동안 있는지 조차 모른채 '관광명소'로 내놓고 '전통문화 안내책자'에 모델로 까지 등장시킨 안일한 역사인식은 깊이 반성해야 할 대목이다.
박제순 공덕비를 어떻게 할 것인가
입력 2005-12-13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5-12-13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종료 2024-11-18 종료
경기도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역점사업이자 도민들의 관심이 집중돼 온 경기국제공항 건설 후보지를 '화성시·평택시·이천시'로 발표했습니다. 어디에 건설되길 바라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