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자체 전문연구기관을 홀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천의 미래를 정책연구로 뒷받침하는 인천발전연구원의 경우 연구과제 물량은 타시도의 2배 수준이나 연구원 대우는 형편없다. 석·박사급 전문인력임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초임은커녕 인구 150만인 강원도보다 낮은 보수를 받는다고 한다. 질높은 연구성과는 애초에 기대하기 힘든 구조다. 인천문화재단, 시역사자료관, 시립박물관 등 역사·문화 분야는 더 열악하다. 단 2명이 연간 9종의 연구책자를 만들어내야 하는 지경이다. 시쳇말로 '그까이꺼 대충하라'고 시가 종용하는 거나 다름없다.
튼실한 기초연구가 쌓이지 않는 한 '21세기 동북아 허브'는 공염불이다. '문화의 시대' 운운도 말장난일 뿐이다. 이런 현상의 밑바탕에는 민선 자치체제의 성과주의와 몰이해가 깔려 있다. 민선 체제에서 '싱크 탱크'는 그럴듯한 치적용 생색내기 한 건을 포장해내는 기구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미래를 내다보는 깊이 있는 정책개발은 뒷전으로 밀리기 일쑤다. 더욱이 문화와 역사에 대한 피상적인 관심은 관련 전문인력을 시의 뒤치다꺼리나 하는 허드레일꾼으로 만들어 버린다. 고급인력들이 자괴감 속에 마지못해 일을 하다가 더 좋은 자리를 찾아 떠나는 악순환을 피하기 어렵다.
답은 이미 나와 있다. '싱크 탱크' 인재들의 직급과 보수체계를 그들의 역할에 걸맞게 조정하면 된다. 그들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보장해주고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풍토를 만들어주어야 한다는 얘기다. 전국 최고 대우는 보장못할지언정, 적어도 공무원들의 공직경력을 인정해 주듯이 전문인력들의 연구경력을 그대로 반영하도록 규정을 바꾸는 일이 시급하다. 단체장의 정치적 참모 그룹과 시의 공식적인 싱크탱크를 혼동해서도 안된다. 역사·문화 관련 기관의 장을 퇴직예정 공무원을 배려하는 자리로 삼는 관행도 이제는 고칠 때가 됐다.
물론 전문연구인력 홀대가 인천시만의 문제는 아니다. 전국 광역지자체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다. 하지만 정책과 문화분야 기초연구의 중요성은 갈수록 강조되는 추세다. 이를 간파한 지자체들은 구태의연한 자세에서 벗어나 지역발전을 뒷받침할 실질적인 연구성과 축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천시도 뒤처지지 않으려면 뼈아프게 반성할 필요가 있을 터이다.
기초연구 없이는 지역발전도 없다
입력 2006-02-07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6-02-07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종료 2024-11-18 종료
경기도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역점사업이자 도민들의 관심이 집중돼 온 경기국제공항 건설 후보지를 '화성시·평택시·이천시'로 발표했습니다. 어디에 건설되길 바라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