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5일 김대중대통령과 김정일국방위원장이 남북공동선언에서 이산가족 상호방문에 대해 합의함에 따라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

그 후속조치로 남북한 당국은 발빠른 행보를 취하고 있으며 남북적십자대표단은 지난달30일 오는 8월15일부터 18일까지 3박4일 일정으로 151명 규모의 이산가족방문단을 서울과 평양에 동시교환키로 합의했으며 17일 우선 선정된 200명의 명단을 북측에 통보했다.

이산가족 문제는 그간 남북문제에서 최우선 과제로 논의돼왔으나 상봉에 성공한 경우는 지난 85년 9월 남북한 151명의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단이 서울과 평양에서 가족상봉을 한것이 유일하다. 이후 남측과 북측은 그동안 이산가족문제 접근에 있어 서로다른 현격한 입장 차이를 보이며 가능성을 열어 놓은채 좀처럼 성사되지 못했다.

이번 이산가족방문단 교환 합의는 남북최고위급간에 이뤄진 일로 헤어진 가족들이 만나고 더 나아가 민족화합의 시금석이 되리라는 한층 높은 기대를 준다. 이러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이산가족의 그동안 응어리진 한을 풀고 편지를 주고 받으며 자유롭게 남북한을 왕래할 수 있는 일들이 한순간에 해결될 수는 없으며 시급한 문제들을 하나하나 해결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들이 너무 많다.

따라서 우선 접근하는 것이 남북으로 흩어진 가족들의 생사 및 주소를 확인할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이다. 그러나 이 또한 남한에만 700여만명의 실향민 1,2세대들이 살고있는 점을 감안하면 한순간에 생사 및 주소확인이나 가족상봉이 이루어 지기에는 한계가 있다.

남북의 흩어진 가족들이 이메일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사업은 오랫동안 느껴온 한계를 한순간에 해결할수 있는 열쇠가 된다. 만나지 못해 한맺혔던 사연들을 편지를 주고 받으며 하나하나 풀어가고 통일 이후에도 2원화된 정서들이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제가 되어야 할 것은 북한내 인터넷 사업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이다. 북한내부의 인터넷 사업에 대한 준비는 올 4월 김일성대학에 4년제 컴퓨터 대학이 설립된 점을 볼때 생각보다 더 적극적일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 과학자들은 인터넷에 대해 자유롭게 연구하고 있으며 언론도 이를 주민에게 알리고 있다. 또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하루 2시간 이상 인터넷 서핑을 즐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들의 인터넷 접근도 그리 멀지 않은 시간에 이루어 질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최근 통신정책을 발표하면서 인터넷 수용의지를 밝히고 나진지구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외자유치를 시도하고 있다. 우리측도 향후 통일한국의 방편으로 21세기 국가발전의 원동력이라 할 정보통신 부문의 남과 북의 통합이 부각되고 있다. 경제협력 부분에서 북한의 통신망 작업에 남한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북한지역에 통신인프라가 구축되고 주민들의 인터넷 활용이 보편화 되면 이산가족들의 자유로운 전자서신이 가능해지고 한순간에 남북가족들이 인터넷속에서 상봉이 이루어지게 될것이다. 실향민들이 서류를 제출하며 소식을 몰라 애를 태우는 풍경들이 없어질 것이며 어디서든 자유로운 대화가 가능해질 것이다.

정부는 더 늦기전에 이산가족의 한을 풀어주고 민족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북한지역의 통신인프라 구축에 힘을 기울이고 인터넷을 통한 자유로운 전자서신이 가능해지도록 이산가족 전자서신교환특별법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겠다. 이러한 토대야 말로 이산가족의 50년한을 풀어주고 민족화합을 앞당기며 그리 멀지 않은 장래에 통일을 논하는 길이 열리리라 본다./윤인철(제2사회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