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서실 개편은 당초 예상보다 다소 규모가 큰 중폭의 조직정비및 외부 수혈과 내부승진 전환배치를 특징으로 하는 상당폭의 인적 물갈이로 결론났다.
 

◇조직개편=외형상으로는 기능정비와 역할 재조정, 일부 조직 신설을 통해 '2실장 5수석 6보좌관 35비서관실'에서 '2실장 6수석 5보좌관 32비서관실' 체제로 부분적인 변화를 기했을 뿐 큰 틀은 유지했다.
 
그러나 문희상 비서실장, 업무과정개선비서관실 등을 중심으로 한 조직점검 등을 기초로 수석·보좌관실별로 적지 않은 조직정비가 이뤄졌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가 있는 곳은 정책실이다. 정책실장과 정책수석의 업무영역구분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있어왔던 만큼 이들 두 사람의 역할분담을 명확히 했다.
 
정책실장은 대 국회를 포함한 대외 업무를, 정책수석은 부처 정책과제 점검과 관리업무를 맡는 것으로 했으며 특히 과거 '보고서' 기관에 불과했던 정책기획위위상을 대통령 국정과제의 종합기획과 조율업무를 맡도록 실질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책기획위내에 국정과제담담 비서관실인 사무처를 신설했다. 그러나 정책실장이 이 사무처 업무도 관여토록 한다는 게 청와대의 '설정'이지만 정책실장과 정책기획위원장의 역할 중첩과 보고라인 혼선 소지가 다분해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부처별 정책점검과 관리 강화를 위해 정책기획·정책조정·정책관리비서관실을 정책기획·산업정책·사회정책비서관실로 바꿔 업무 중복을 피하고 담당 부처 구획에 혼선이 없도록 조정했다.
 
업무량 폭주에 따라 인사보좌관실을 인사수석실로 개칭, 인사1, 2비서관을 인사관리·인사제도·균형인사비서관 등 3자리로 늘려 인원을 보강하고 업무를 체계화하기로 했다.
 
민정수석실의 경우, 사회갈등 관리와 친·인척 사정 등의 업무를 맡아온 민정1은 민정비서관으로, 검찰 등 권력기관 개혁업무를 맡아온 민정2비서관은 법무부와 청와대내 법률자문 등을 담당한 법무비서관 역할까지 흡수, 법무비서관으로 통합시켰다.
 
정무수석실은 국회·정당 담당인 정무1, 현안이슈 담당인 정무2 비서관을 정무비서관으로 단일화해 국회·정당을 전담토록 하되 현 정무기획비서관이 정무2의 현안이슈까지 맡도록 했다.
 

◇인사개편=전문성을 고려한 정부부처 등 외부인력 충원과 개인실적및 다면평가, 부서실적을 감안한 내부 승진 및 보직이동으로 총 16명의 비서관급 인사가 단행됐다. 수석·보좌관급 이상은 추후 개각과 맞물려 인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16명은 보직이동 6명에 신규와 승진이 각각 5명으로, 386보다는 '40~50' 세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출신 대학은 연·고대가 각 4명, 서울대 3명, 서강대와 중앙대, 외대, 이대, 서울시립대가 각 1명 등의 순이었다.
 
먼저 관심을 끄는 신규 인력은 인사수석실에 집중 배치됐다. 정부부처, 학계 등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는 인재들이라는게 청와대측 설명이다.
 
이권상(50) 행자부 인사국장, 김판석(47) 연대 행정학과 교수, 정영애(48) 충북도 여성정책관이 각각 인사관리·인사제도·균형인사 비서관으로 나란히 수혈됐다.
 
또 유재웅(45) 국정홍보처 국정홍보국장이 홍보기획비서관으로, 윤후덕(46) 행자장관 정책보좌관이 정무비서관으로 각각 자리를 옮겼다.
 
승진 발탁 케이스는 대폭 물갈이가 이뤄진 홍보수석실에서 무더기로 나왔다. 인수위때 '인수위 브리핑' 제작의 기초를 다져 이후 '청와대 브리핑' 발간의 가교역할을 했던 양정철(39)씨가 업무능력을 인정받아 국내언론비서관에 기용됐다.
 
또 미디어오늘 편집국장을 지낸 안영배(41) 국정홍보 행정관이 국정홍보비서관겸 부대변인으로 한급 승진했으며 안연길(45) 국내언론 행정관이 기자들과 호흡을 맞추게 될 보도지원비서관(춘추관장)에 승진 기용됐다.
 
이와 함께 이용철(43) 민정2비서관이 법무비서관을 흡수 통합, 법무비서관으로 직함이 변경됐고, 정책수석실내 김성진(54) 정책관리비서관이 산업정책비서관으로, 김창순(53) 인구·고령사회대책 태스크포스 비서관이 사회정책비서관으로 각각 보직 이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