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20일 열린우리당에 정식 입당했다. 민주당을 탈당한뒤 7개월여만에 사실상 자신을 중심으로 세운 열린우리당 적을 보유하는 셈이다. 노대통령의 입당에 힘입어 열린우리당은 이제 명실상부한 원내과반 여당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고, 막중한 책임을 동시에 걸머지게 됐다.

노 대통령의 입당이 갖는 의미는 유례를 찾기 힘들정도로 각별하다. 노 대통령은 사실상 “대통령직을 걸고 치른 선거에서 원내과반을 차지한뒤 당에 입당하는 '동지이자 지도자'의 의미가 있다. 청와대는 '평당원 노무현, 수평적 당청정관계'를 누누이 강조하고 있으나, “당에 차지하는 노대통령의 무게는 3김과 비교해 손색이 없다”는게 중론이다. 과거 3김식 당지배도 없고, 수직적 명령체계도 없다.

그러나 노대통령이 예전처럼 당에 대해 언급하거나, 대국회전략전선에 나서거나, 대국민설득에 직접 나설 가능성은 거의 없어보인다. “대통령이 직접 나설 필요가 없을 정도로” 그만큼 (권력의)집중력과 정책의 선명성이 부각됐다는 것을 뜻한다. “개혁의 로드맵은 이미 준비됐고, 국회의 힘도 갖춰졌으니 당에서 책임지고 추진해야 한다는 게 노대통령의 뜻”이라고 고위당직자는 말한다.

따라서 노대통령의 입당은 '당·정·청'간 공식 협의를 통한 책임정치 구현을 말한다. 이를 위해 그동안 논의기구에 불과했던 당정협의, 정책정례회의 등이 실질적이고 책임있는 정책결정 협의기구로 변환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서 역할과 책임은 분담된다.

고위 당정회의가 부활될 것이라든가, 노 대통령과 우리당 지도부 간 상시 채널가동에 대한 이야기도 같은 맥락이다.

이라크전 추가 파병 문제, 추경예산 편성 등 현안과 관련해 당·정간 협의채널이 곧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고 이의 성패여부에 따라 노대통령은 당 운영방식에 있어서 또다른 선택을 기할 수도 있다”는게 청와대 주변의 관측이다.

노 대통령은 지난 4월21일 우리당 지도부와의 청와대 만찬에서 “입당을 하게 되면 책임있는 당원으로서 당 운영에 참여할 것이지만 당직 임명이나 공천과정 등에는 개입하지 않고 당직도 겸임하지 않을 것”이라며 '수석당원'으로서의 구체적 활동원칙을 밝힌 바 있다.

당측도 일단 노 대통령이 당의 일반적 원칙을 제시하는 수준에서 민주적이고 수평적 리더십으로 당 운영에 참여할 것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천정배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당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토론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살아숨쉬는 대표성, 그러나 드러나지 않는 통치력”이 당·청간에 이뤄질 것이란 게 당·청간의 공통된 견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