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의 치료는 담낭, 담관, 간 등 담석이 있는 위치에 따라 방법이 크게 달
라진다.

고령이나 다른 질병으로 수술의 위험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비수술적 방
법으로 결석제거를 시도하는데 담즙산 제제를 경구 투여하는 방법, 직접 결
석에 용해제를 투여하는 방법, 초음파 쇄석기를 이용해 파쇄시키는 방법 등
이 있다. 그러나 비수술적 방법은 적용 가능한 환자가 극히 제한돼 있고 통
상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며 합병증이 있는 경우 시행하기 어려우며 재발
의 가능성을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일반화된 치료방법은 담관 결석의 경우 역행적 담관조영술로, 담낭 담석의
경우 담낭절제술로 쓸개와 함께 제거하는 경우이다.

역행적 담관조영술은 내시경 전문의에 의해 시행되며 특수한 담도 내시경
을 위를 거쳐 십이지장까지 진행하여 담관 개구부를 확인하고 담관으로 카
테터를 넣고 엑스선을 보면서 담관의 결석이나 병변 유무를 확인하고 만일
담관담석이 확인된 경우 담석제거를 하게 된다. 개복수술에 비해서는 낮지
만 사망률이 약 0.5~1%정도, 합병증은 10%정도에서 발생한다. 췌장염, 담
관 말단부위 협착, 위절제술, 출혈경향이 있는 경우 등에는 성공률이 낮
다.

개복수술은 담관을 절개하여 결석을 제거하고 T-자관을 유치하게 된다. 최
근에는 담관 결석도 복강경으로 제거를 시도하기도 한다. 개복수술의 사망
률은 역행적 담관조영술에 비하여 약 3배정도 높으며 수술로 결석을 완전
히 제거 못했거나 재발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담석이 장관으로 흘러나
올 수 있도록 담관과 소장을 연결하는 수술을 한다.

담낭 담석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복강경 담낭절제수술로 치료한다. 개복수
술시는 약 15㎝ 내외의 복부 절개가 필요하나 복강경 수술은 0.2~1㎝의 절
개선을 3~4개 넣고 여기에 대롱같은 기구을 유치하고 기다랗게 고안된 기구
를 사용하여 수술한다. 수술합병증, 통증, 입원, 금식기간, 진통제 사용 등
이 적을 뿐 아니라 미용상 우수하고 조기에 생활 복귀가 가능하다. 과거 개
복수술에 의한 담낭절제술의 경우 합병증은 5~20%정도, 사망률은 0.5% 정도
였으나 복강경 담낭절제술 이후 합병증은 5~10%, 사망률은 0.1~0.5% 정도
로 감소하였다. <김기상 (동수원병원 일반외과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