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남동산단)의 공장용지가 일반 택지가격에 맞먹는 수준으로 오르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묶인 유휴 자금이 공장용지로 흘러들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 개발 등으로 인한 막연한 기대감도 땅값 상승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남동산단의 땅값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또다른 이유를 공급보다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래저래 인천지역의 공장부지난은 심각해지고 있다.
◇부동산투기장 변질=올 상반기 남동산단 공장용지 매매가는 지난해 하반기보다 평당 100만~150만원 올랐지만 실제 거래는 뜸하다. 땅값이 너무 올라 중소기업을 보호, 육성하는 국가산업단지의 기능을 상실했거나 외부 자금이 유입돼 가격만 올리고 있다는 얘기다.
남동산단은 제2경인고속도로 이용이 수월한데다, 제3경인고속도로·수인선 개통도 예정돼 있다. 도로망 구성에서는 최적의 입지여건을 자랑하는 것이다. 특히 송도국제도시에 각종 연구개발시설과 IT·BT산업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남동산단의 투자가치는 높다는 게 일반적 시각이다. 여기에 남동산단 주변지의 개발과 자체 구조고도화 사업으로 인한 기대감도 땅값 상승을 부채질한다는 지적이다.
남동구 고잔동 J공인중개사는 “남동산단은 주변 여건 호재와 부동산 유휴자금이 지가를 급격히 끌어올리고 있는 것 같다”며 “이 상승세는 연말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남동산단의 임차공장 수 증가는 산업단지가 부동산투기장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한국산업단지공단 경인본부에 따르면 남동산단 소재 4천100여개 제조업체 중 임차공장 수가 절반을 넘는다. 지난 4년 동안 500~1천평 규모 공장용지의 53.9%가 분할매각·임대 등을 통해 쪼개졌다. 남동산단 내 제조업체의 한 대표이사는 “자기 공장을 운영하지 않고 임대를 통해 수익을 얻는다는 그 자체가 투기”라고 지적했다.
◇공장부지난 심화=인천은 도시개발에 따라 준공업지역이 지속적으로 주거·상업지역으로 바뀌고 있는 상태. 대형 공장이 들어서 있던 남구 용현·학익구역과 남동구 소래논현구역은 이미 주거·상업지역으로 용도가 변경,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공장용지가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하는 이유는 주변 환경이 변했기 때문. 공장 주변에 주거지역이 들어서면서 공장이 더 이상 버틸 수 없게 된 것이다.
대기업의 경우에는 높은 가격이 형성된 공장부지를 팔거나 직접 아파트 개발사업에 뛰어들어 이익을 챙기기도 한다. 공장부지는 도로 등 기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향후 분양성도 높다. 이 때문에 도심 속에 공장부지를 갖고 있는 기업은 `땅부자'로 불릴 정도다.
문제는 시내 곳곳에서 도시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영세 중소기업들이 갈 곳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명 `검단신도시' 예정지와 청라경제자유구역이 있는 서구지역에는 수 천개의 영세 공장이 있는데, 이들은 조만간 지역 내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형편이다. 몇 년 내 인천지역의 극심한 공장부지난을 예상할 수 있는 대목이다.
◇땅값 먼저 잡아야=땅값 상승과 임차공장 증가현상은 각종 부작용을 낳고 있다. 비싼 땅값은 공영주차장 건립, 복지시설 확충 등 구조고도화 사업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또한 높은 임대료 때문에 중소기업들의 경쟁력도 약해지고 있다.
지역경제단체 한 관계자는 “남동산단은 명칭 그대로 국가 정책에 의해 조성된 국가산업단지이기 때문에 투기수요를 억제할 수 있는 보다 강력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남동산단의 문제는 주거지역에 상업시설을 지어 장사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순수하게 공장을 운영하는 업체만 입주시켜야 한다”며 “부동산 투기세력에 대한 강력한 단속과 처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