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경기 광명·부천·시흥시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는 광명 노온정수장의 운영·관리권 이양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노온정수장은 지난 1989년 인천과 경기 광명·부천·시흥지역의 부족한 수돗물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공동 투자로 건설, 운영되고 있다.

광명시는 노온정수장 생산량의 26%를 이용하는 등 타 시·도보다 수급·운영비 부담 비중이 높다. 또 광명시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정수시설을 증설할 계획이어서 노온정수장의 운영·관리권을 광명시로 넘기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현재 인천시의 배분량은 협약 당시 55%(31만t)에서 13%(7만5천t)로 크게 줄었다. 실제 사용량에서도 1일 1만t을 사용해 4개 도시 가운데 의존비중이 가장 낮다. 운영부담률도 당초 55%에서 4%로 낮아졌다.

반면 광명시는 현재 42%의 비용을 부담, 1일 정수사용량도 10만3천t에 달하고 있다. 게다가 광명시는 도시개발에 따른 수요 증가로 오는 2007년 이후 1일 14만5천t 가량이 부족할 것으로 보고 정수시설을 증설할 계획이다. 현재 노온정수장 부지에 1일 9만5천t에 달하는 증설계획을 환경부로부터 인가를 받은 상태다. 이 사업에는 250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될 전망이다.

국회 행정자치위 열린우리당 심재덕 의원은 “시설의 위치, 사용량, 부담액 등을 감안했을 때 관리·운영권을 광명시가 가지는 게 바람직하다”며 “광명시의 정수시설 증설 예산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 소재 정수장 4개소의 평균 가동률은 54%. 인천시가 노온정수장에서 공급받아 사용하는 1일 1만t이 없더라도 1일 100만t의 여유가 있다는 게 심 의원의 계산이다.

심 의원은 “광명시가 노온정수장의 관리·운영권을 갖는 것이 수도사업 경영합리화에도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광명시로부터 운영·관리권 이양에 대한 요청을 받았으나 아직 방향을 설정하지 못했다”며 “빠른시일내에 안상수 시장의 의지와 내부 검토를 거쳐 입장을 최종 정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