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미사일 파문과 핵실험 사태가 잇달아 터져 인천의 대북교류사업이 전면 중단되고 있다. 인천시가 `보류'라는 단어 대신 `대북교류사업 중단'이라는 강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그만큼 상황이 여의치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시의 이번 조치로 물질적인 손해는 없지만 장기적으로 남북 관계가 직·간접으로 인천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북핵파문을 바라보는 인천시의 걱정과 우려는 다른 어떤 지역보다도 크다.

시는 지난 2004년 남북교류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할 수 있는 조례를 만들었다. 남북교류사업의 시발점은 지난해 인천에서 열린 아시아육상경기선수권대회로, 시는 이 행사를 계기로 남북교류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했다.

시의회는 `남북교류촉진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남북교류협력·통일정책사업에 대한 의견과 대안을 제시했다. 특위는 (재)인천국제교류센터를 대북사업자로 지정해 남북교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시가 대북교류촉진방안으로 세워놓은 과제는 모두 6개 분야 27건에 달한다.

시는 이중 `동아시아 클럽대항 축구대회', `남북 문화예술 공연 정례화', `청소년 교류사업' 등을 올해 사업으로 계획했으나 각종 악재로 인해 추진하지 못했다. 지난 5·31 지방선거, 북한의 미사일 파문, 북한의 핵실험 강행 때문이다.

시는 `동아시아 클럽대항 축구대회'를 5월에 개최하기 위해 3월부터 북쪽과 협의를 벌였으나 5·31 지방선거 때문에 개최시기를 하반기로 연기했다. 이 과정에서 지난 7월 미사일 파문으로 사업추진이 보류됐다가 이번 북핵 사태로 아예 중단된 것이다.

시는 특히 미사일 파문에도 불구하고 북한과의 관계유지를 위해 북한의 수해 복구를 지원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남북협력기금을 통해 2억원 어치의 철근을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중단됐다.

시 관계자는 “북한에서는 인천에 대한 신뢰·신인도가 타 시·도에 비해 매우 높다”며 “이번 대북교류사업 중단이 북한과의 관계에 나쁜 영향을 줄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 “상황이 좋아져 남북교류사업을 재개해도 다시 (북쪽과) 대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