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도부가 연말까지 이어진 '4대 입법' 협상과 성적에 대한 책임을 지는 형식으로 잇따라 당직을 사퇴, 신년정국이 벽두부터 당지도부 교체의 후폭풍에 휩싸이고 있다.

연초 정국의 유동성 고조는 여야 내부 힘의 역학관계는 물론이고 2월 임시국회로 미뤄진 국가보안법 등 주요 쟁점법안의 처리향배, 나아가 여야관계 전반에까지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우리당의 경우 천정배 원내대표와 원내부대표단이 1일 새벽 임시국회폐회 직후 개혁입법의 '연내 일괄처리' 무산에 따른 책임을 지고 사퇴한데 이어 3일 오전 영등포 당사에서 상임중앙위원회를 열어 지도부 일괄 사퇴문제를 논의한다.

우리당의 1일 단배식 직후 이부영 의장 등 상임중앙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비공식 접촉에서는 이 의장에 대한 동반사퇴론이 많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당내에서는 현재 지도부 공백 등을 우려해 사퇴해서는 안된다는 온건중도파 중진들의 의견과 개혁입법의 연내처리 무산에 책임을 지고 지도부가 동반사퇴해야 한다는 재야 강경파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 의장이 사퇴할 경우, 후임 당대표 문제는 지난해 1월 전당대회에서 4위로 당선된 이미경 상임중앙위원이 의장직을 승계하는 방안과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한나라당의 경우에도 김형오 사무총장과 임태희 대변인, 진영 대표비서실장 등 핵심 당직자들이 2일 당직 사퇴의사를 박근혜 대표에게 전달했다.

김 총장은 이날 “당 사무처 구조조정도 마치고, 정기국회도 마무리됐으니 새로운 사람들로 당을 이끌어가야 한다는 생각에서 당직사퇴의사를 대표에게 밝혔다”고 말했다.

특히 영남 출신 및 보수성향의 중진들을 중심으로 국가보안법을 비롯한 4대입법대여협상과 관련해 김덕룡 원내대표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어 김 원내대표의 거취결정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