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란?

 사람의 귀는 구조적으로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중이는 고막부터 달팽이관(와우) 직전까지의 공간을 말한다. 중이의 내부에는 이소골이라는 작은 뼈가 3개 있고 서로 관절로 연결되어 있다. 소리란 공기의 진동이다. 이 진동이 고막, 이소골을 거쳐 달팽이관으로 전달된다. 달팽이관에서는 이 진동을 신경신호로 바꾸는 작용이 일어나고 이 신경신호가 청신경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면 우리는 비로소 소리를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만성 중이염은 왜 생길까?


중이염이란 바로 이 중이에 생긴 염증이다. 중이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공기, 점막, 이소골로 이루어진 뼈 속의 작은 공간이다. 이 공간은 외부와 교통이 없이 차단된 공간이 아니다. 앞쪽으로는 유스타키오관이라는 관을 통해 코 뒤의 비인강이라는 공간과 통하고 있고, 뒤쪽으로는 유양돌기내의 빈공간으로 통해 있다. 귀 뒤를 만져보면 아래쪽으로 돌출한 딱딱한 뼈가 만져지는데 이곳이 바로 유양돌기이다. 정상적으로 공기가 차 있고 점막으로 둘러싸인 무수한 작은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인강에서 감기의 합병증으로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세균이 중이로 들어오고, 고막을 다쳐 고막을 통해 중이로 세균이 들어오게 된 다음 이것이 중이 자체의 저항력을 이기게 되면 중이의 점막에는 염증이 생긴다. 고막자체에도 염증이 퍼져 구멍이 뚫린다. 이렇게 되면 염증이 있는 중이의 점막에서 생긴 농(고름)이 뚫어진 고막을 통해 바깥으로 나오는데, 이것이 흔히 이야기하는 `귀에서 물이 나온다'는 증상이고, 의학적으로는 `이루'라고 한다. 또한 이 중이염이 진행되면 염증이 유양돌기에까지 퍼져 지속적으로 이루를 만들어 내고, 이소골을 파괴시켜 청력을 떨어뜨린다.


만성중이염의 진단과 검사는?

만성중이염은 이와 같은 증상과 뚫어진 고막 소견으로 주로 진단하는데 병이 심한 정도, 병이 퍼진 정도, 수술 후 청력의 회복 가능성 등 좀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청력검사와 귀 X-선 사진을 찍는다. X-선 사진만으로 판단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귀의 컴퓨터사진(CT)을 찍기도 한다.


만성중이염은 꼭 수술을 해야 완치되는가?

대부분의 만성중이염은 수술을 해야 완치시킬 수 있다. 만성중이염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고막과 중이 점막에 와있기 때문에 약물치료만으로는 당분간 고름이 나오지 않는 정도의 보존적 치료는 가능하나 재발을 계속하며 고막을 재생시키는 정도까지의 완치는 불가능하게 된다.

중이염은 그 합병증으로 중이를 지나는 안면신경의 마비가 잘 생기는데, 이 경우 한 쪽 입이 마비되어 표정이 찌그러지며, 눈을 못감는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드물게 다른 합병증으로 중이를 둘러싸는 뼈를 넘어 염증이 퍼지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는 내이로 퍼져 내이염으로 귀머거리가 되거나 심한 어지러움을 일으키기도 하고 뇌로 퍼져 뇌막염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합병증이 생기기 전에 중이염을 수술하여 안전한 귀를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진주종이 동반된 중이염의 경우는 이러한 중이염의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본인이 크게 불편하지 않더라도 진주종으로 수술을 권유받은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은 어떻게 하나?

대부분 고막이 뚫어진 것만을 중이염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만성중이염은 유양동에까지 염증이 가있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만성중이염의 수술 목적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염증의 제거이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목적이 청력의 개선이다.

이 두가지 중요한 목적을 같이 달성시키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실제로는 염증의 상태에 따라 2단계의 수술을 하는 경우도 많다.

염증이 경미한 경우에는 귀 안쪽으로만 절개를 넣고 수술을 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귀 뒤에 5cm 정도의 피부절개를 하고 유양돌기에 대한 수술과 중이에 대한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염증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일단 염증이 있는 뼈와 조직을 제거한 후 중이가 깨끗해지면 6개월 내지 1년후 청력 개선을 위한 2단계 수술을 시행한다. 첫 수술에서 염증을 제거하면서 고막을 만들어 주지만, 고막의 재생술만으로는 청력이 많이 좋아지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이소골의 재건이다. 바로 제2단계 수술에서 이소골의 재건을 시도하는 것이다.

<도움말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이준호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