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 인구가 오는 2018년 4천93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선다고 통계청이 밝혔다고 한다. 이같은 통계청 분석결과는 고령화 사회 대비를 보다 적극적으로 하라는 경고가 아닐 수 없다. 인구 정점 연도는 2001년 추계당시는 2023년 이었던 것이 지난해 1월 특별 추계 때는 2020년, 이번엔 2018년으로 더 빨라졌다. 이런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결과는 주로 출산율 저하와 수명연장 때문이라고 하니 걱정이다.

우리의 고령화 문제는 아주 심각하다. 저출산문제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세계적으로도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서 그렇다. 물론 이 고령화·저출산문제가 한두번 제기된 것은 아니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그냥 지나칠 문제는 아니다. 대책이 시급하다는 얘기이다. 장래인구추계에서 나타난 상황이 아주 안좋다. 2050년 세계 최고 고령국가가 된다는 예고는 두렵기까지 한 실정이다. 2018년 고령 사회에 들어선 후 8년후에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다는 전망이다. 이같은 속도는 선진국인 일본이나 미국보다 훨씬 빠른 것으로 국가의 장래마저 염려스러울 뿐이다.

저출산으로 인해 노동력이 있는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2016년에 정점에 이르게 된다는 점도 큰 부담이다. 이로인해 2050년엔 젊은이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꼴이 된다는 것이다. 저출산 문제가 급기야 국가의 미래에 대한 발목을 잡는 덫으로 뒤바뀌는 현상이 벌어질 수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노인이 늘고 젊은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국가 생존이 걸린 문제이다. 일할 사람이 없어 국가의 부강은 먼 얘기가 된다. 그리고 누가 노인들을 부양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이다. 여기에 평균수명도 길어져 특히 여성의 경우 90세에 육박, 상대적으로 부양기간이 길어질 것은 명확하다. 젊은이들의 허리가 휠 판이다.

따라서 정부는 혹시라도 다가올 수 있는 재앙아닌 재앙에 미리 준비해야 한다. 그러기위해선 고령화 사회를 뒷받침할 사회 안전망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특단의 방안마련도 필요하다. 인구문제는 하루 아침에 해결 할 수 없다는 면에서 지금부터 고령화·저출산에 대한 사회 대비책을 적극적으로 세워나가도 늦었다는 자각이 필요하다. 이른 시일내에 적절한 방안이 마련됐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