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축제 수술'에 나설 모양이다. 이른바 3대 축제(세계도자기 비엔날레·실학축전·평화축전)를 지역축제와 통합하는 모델찾기에 착수했다 한다. 큰 방향은 옳다. 도 문화관련 예산이 적잖이 투입되는 이들 행사는 진작 수술했어야 했다. 문제는 도가 '3대 축제'라고 지칭하는 행사들이 과연 '축제'라고 부르는 게 맞는가 하는 점부터 짚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형식면에서 유사하다고 해서 아무데나 '축제'를 갖다붙이는 유행을 따라 전혀 성격이 다른 문화행사와 지역축제를 한묶음으로 엮는 무리수가 두어져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통합모델 이전에 3대 행사의 허실부터 정확히 짚어져야 한다. 병의 근본원인을 알아야 수술이 가능하다. 막연하게 인파가 흥청대는 행사가 된다고 해서 성공이라 할 수는 결코 없다. 3대 행사에는 처음부터 거품이 낀 부분이 없지 않았다. 정확한 개념없이 '포장(행사명)'이 주는 그럴듯함만을 취해 전시성 치적행사로 일을 벌인 탓이다. 이제 라도 방향수정을 하겠다는 뜻은 가상하나, 관람객수만을 성공지표로 삼아서는 곤란하다. 행사의 콘텐츠와 질을 최대한 높여 승부하는 방안을 찾는데 먼저 주력해야 한다. 도지사의 한마디에 임시봉합식으로 해결책을 찾는 식이 되어서는 안된다고 본다.

물론 지역 축제와의 결합도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만 있다면 좋은 방향이다. 하지만 지역 특산물 축제와의 결합은 신중해야 한다. '장터'와 '갤러리'를 잘못 이어붙이면 죽도 밥도 안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그럴 바엔 취지가 다른 행사는 각기 장점을 살리는 쪽으로 발전시켜 나가는게 더 낫다. 이와 관련해서 '지역축제난립론' 또한 다시한번 깊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축제가 너무 많아서 골치'라는 발상은 고답적인 '축제관'을 피상적으로 답습하는데 불과하다. 누구나 쉽게 찾아가서 즐길 수 있는 자리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역예산을 물쓰듯 쓰면서 알맹이 없는 행사를 축제로 포장하는 게 문제일 따름이다.

그러므로 이왕 '경기도 대표축제 모델개발'에 나서기로 했다면, 최대한 정직하게, 최선을 다해서 전문가와 도민여론을 수렴하는 자세를 갖춰주기 바란다. 마음을 열면 지금까지 실패를 거듭했던 행사를 성공적으로 바꾸어줄 참신한 아이디어와 에너지를 찾아낼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