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아시안게임 개최지 선정을 위해 실사에 나선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평가단이 지난 달 13일 안상수 시장, 신용석 유치위원장과 함께 인천시 부평구 삼산동 삼산월드체육관을 방문, 환영나온 시민들에게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임순석기자·sseok@kyeongin.com
[1] 인천시정


인천시의 2006년은 역시나 숨 가쁜 한 해였다.

2014년 제17회 아시안게임을 반드시 인천에 유치하겠다는 목표 아래, 내년 개최지 선정을 앞두고 모든 시민이 분주하게 움직였고, 우리나라 최초로 지정된 경제자유구역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를 굳히는 데 민·관이 따로 없었다. 특히 경제자유구역의 그늘에 가릴 우려가 있는 기존도심을 새롭게 탈바꿈시킬 도시재생 프로젝트도 본격화 했다.

'희망'의 횃불을 들고 뛰어 왔지만 그동안을 뒤돌아 보면 아쉬움도 많다. 도시 전체가 개발 열풍에 시달리면서 이해가 엇갈리는 주민 집단의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인천시청 앞은 1년 내내 시위 중이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민원이 넘쳐 났다. 또 수도권의 틀에 묶여 있다보니 여전히 각종 규제에 발목이 잡히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시가 산하 공사·공단을 설립하면서 인력 인프라 구축에 소홀했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게 됐다. 인천관광공사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비리 등 잡음이 그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5·31 동시 지방선거가 있었지만 안상수 시장이 연임에 성공하면서 인천시정 전체적으로 볼 때는 신년 계획이 단절없이 추진돼 왔다고 할 수 있다.

이같은 사실은 안 시장이 후보로서 낸 '10대 핵심 공약'에서도 잘 드러난다. 2014년 아시안게임 인천 유치로 시작되는 10대 공약은 안 시장은 그동안 4년 재임기간 펼쳐 온 시정 방향의 연장선상이라고 볼 수 있는 것들이다.

올 한 해의 가장 큰 시정 성과로는 나라 안팎에 인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인 점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인천이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전에 뛰어든 것이 경제자유구역 개발과 맞물리면서 대외적 인지도에서 인천의 가치는 크게 향상됐다. 지난 주 막을 내린 제15회 도하 아시안게임 현장에서도 이런 인천의 가치상승은 여실히 드러났다고 한다.

안 시장을 필두로 한 인천아시안게임 유치단에 갖는 각국의 시선이 예전과는 판이하게 달라질 정도로 부드러웠다고 한다.

인천의 중요성은 국내에서도 확인됐다. 수도권 규제 일변도의 정부 정책에서 예외를 인정받은 게 두 가지나 있기 때문이다. 첨단기술력을 갖춘 해외 기업을 인천으로 끌어 들일 수 있는 부지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청라경제자유구역 안에 IHP(Incheon Hi-Tech Park) 조성사업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수도권인 인천에 추가적인 공단 조성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게 정부 입장이었던 탓에 시가 IHP조성 계획을 발표했을 때만 해도 성사를 낙관한 사람이 많지 않을 정도였다.

우여곡절 끝에 정부가 IHP 조성이 가능토록 한 것은 인천에 대한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면서 외국기업의 인천진출에 대한 의욕이 그만큼 크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 있다.

올 하반기 인천의 주요 이슈 중 하나는 '검단 신도시'였다. 시가 자체적으로 추진해 온 검단신도시 사업을 정부 차원에서 받아들인 것이나 다름 없다. 이는 인천이 수도권 중심부에 진입했기에 가능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교육과 관련한 부분에서도 시정역량이 집중된 한 해였다고 할 수 있다. 초·중·고 각급 학교에 미국, 캐나다, 호주 등지의 원어민 교사가 배치돼 학생을 가르치기 시작하는 등 일선 교육현장의 여건이 선진화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인천대학교가 국립화하는 데 첫 발을 내딛기도 했다. 비록 특수법인 형태이긴 하지만 인천대를 국립대로 한다는 내용의 협약식을 정부와 맺은 것이다.

시 조직 내부적으로도 수많은 변화가 있었다. 올 해 눈에 띄는 것은 부서별로 진행되는 각 사업마다 전담해 추진하는 담당자(PM)를 지정했다는 점이다. 이 제도 시행으로 굵직한 사업은 진행상의 공과가 여실히 드러날 수 있게 됐다.

이런 가운데서도 설익은 개발계획이 너무 빨리 발표되면서 보상문제 등 각종 민원이 정상적인 사업추진을 방해 하는 일이 많았다. 특히 주요 개발현장인 영종도 지역과 가정오거리 주변은 개발방식 등을 놓고 주민 사이의 갈등의 골이 깊어져 치유할 수 없는 지경에 다다르기도 했다. 시가 이런 문제를 어떻게 풀어 낼 지 내년이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