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원의 빚이 있는 경기지방공사가 연봉 1억원대의 연구원들을 채용키로 해 논란이다. 빚더미에 올라 경기도 재정에도 부담인 공사가 고액 연봉자들을 써야 할 절박한 사정이 무엇이냐는 거다. 정책개발을 위한 연구소 설립이 경기개발연구원의 기능과 겹친다는 지적도 있다. 공사는 이미 책임연구원을 채용한 데 이어 3명을 더 충원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파문은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경기지방공사는 도시정책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소는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도시·교통·주택 계획을 수립하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분석해 대안을 마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공사는 지난 1월 19일 연구원채용공고를 내 이미 1명은 채용하고 3명은 추가모집하기로 했다. 문제는 이들의 높은 급여 수준이다. 연구위원은 연봉 7천만원, 수석연구원은 연봉 6천만원에 각각 기본연봉 50% 범위내에서 성과급을 받도록 해 연구원은 1억500만원, 수석연구원은 9천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공사는 1차 모집공고에 지원자가 적었던 이유가 낮은 급여수준 때문이라고 보고 2차 공고에서 이를 높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총 4조3천억원의 부채를 짊어진 공사 형편에서 억대에 가까운 고액 연봉자를 4명이나 둔다는 데 대한 비난이 만만치 않다.

도내 지역개발과 관련한 연구·용역을 하는 경기개발연구원과의 기능 중복도 논란이다. 개발연구원에 용역을 맡겨도 되는데 굳이 연구소를 만들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공사는 연구원에 과제를 위탁하면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즉각 대응하지 못하는 등 속도감이 떨어져 연구소를 운영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공사와 유사한 연구기관을 갖고 있는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관계자들조차 연구소 설립 취지는 이해할 수도 있으나 고액 연봉 지급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여하튼 연구소가 필요하다면 만들어야 한다. 연구소가 없어 공사의 업무 자체가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 이왕 만들거면 재원도 확보해주고 제도적 뒷받침도 확실하게 해 줘야 한다. 하지만 부채 규모가 4조3천억원이나 되는 공사가 억대에 가까운 고액연봉자를 4명이나 채용한다는 건 아무래도 무리인 것 같다. 더구나 이들이 하는 일을 이미 도 산하 연구기관이 담당하고 있다면 중복투자를 하는 우를 범하는 셈이다. 때 늦은 감이 있지만 공사는 연구소 설립을 재검토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