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이 2일 마무리된 제20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우리측에 쌀 40만t과 비료 30만t을 요구한 것으로 확인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애초 북측이 지난해 미사일.핵실험 사태로 쌀 차관 50만t과 비료 10만t(35만t 지원)을 받지 못한 점을 감안해 이번에는 적어도 작년 요구량인 쌀 50만t과 비료 45만t, 또는 이를 소폭 웃도는 양을 요구할 것으로 추측했으나 이런 예상이 모두 빗나갔기 때문이다.

   더욱이 식량 40만∼50만t, 비료 30만∼50만t의 범위 내에 있던 과거 연간 요구량 중에서도 최저치 수준이었기에 의아하다는 반응을 낳을 수 밖에 없었다.

   2000년 이후 실제 지원량도 쌀 40만∼50만t, 비료 30만∼35만t 수준이었다.

   이렇듯 요구하는 쪽이 지원하는 쪽의 예상 범위에서 최소 수준을 요청한 `의외의 상황'에 대해 분석이 분분하다.

   우선 북측이 남측의 국내 예산 사정을 고려한 결과라는 관측이 있다.

   우리 정부는 올 남북협력기금으로 애초 쌀 50만t용 1천925억원, 비료 35만t용 1천400억원을 편성했지만 지난해 말 국회 통과 직전 쌀 40만t, 비료 30만t 어치로 삭감 배정됐기 때문이다.

   북측의 요구량은 이와 정확히 일치한다.

   이와 함께 지난해 북한의 핵실험으로 악화된 남측의 대북 여론도 감안, 무리하게 보일 수 있는 요구를 하지 않았다는 분석도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6자회담 2.13합의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놓는다.

   이는 북측이 핵시설의 불능화조치까지 취할 경우 폐쇄.봉인 조치에 대한 대가를 포함해 중유 100만t 가치의 경제.에너지.인도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것이라는 해석인 것이다.

   더욱이 북.미관계나 북.일관계 정상화 워킹그룹이 가동하면서 관계 개선이 모색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인도적 지원이 보태질 수 있다는 점도 이런 해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한편 북측의 비료 요구와 관련, 이번에는 작년처럼 15만t을 먼저 주고 나머지 30만t은 그 다음에 달라는 식으로 쪼개서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점을 들어 추후 남북 적십자 간 협의 결과에 따라서는 요구량인 30만t이 한번에 전달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