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이전 갈팡질팡

인천대학교 국립대 전환 문제와 현 도화 부지 개발사업은 2003년 5월1일 송도경제자유구역 내 4공구에 인천대학교 신캠퍼스를 조성한다는 계획이 확정되면서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부터 인천대학교 이전과 인천전문대 재배치, 도화지구 도시개발사업, 초·중·고 재배치 사업 등 4가지가 한 데 묶여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4년 여가 지났지만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정리된 게 없다. 완공 시점이 채 2년도 남지 않은 송도 신캠퍼스 건설사업이 아직도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이들 사업의 난맥상이 어느 정도로 심각한 지 짐작하게 한다.

◇송도신캠퍼스 조성=2008년 12월까지 3천565억원을 들여 송도 4공구 내 13만8천여 평의 땅에 짓기로 한 이 사업은 얼마 전 '강제 조정'을 받았다. 캠퍼스 건물 배치 문제로 관련 기관 사이의 의견 조율이 어렵다보니 인천시가 지난 달 업무조정협의회를 개최해 최후 통첩한 것이다. 그러나 대학 측은 아직도 30만평의 부지를 원하고 있고, 신캠퍼스 건설 대가로 내놓은 재산의 일부를 돌려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반환 요구재산은 서울 충무로의 100억원 대 부동산과 대부도의 부동산, 그리고 제주도의 감귤농장 등 총 220억원 대에 달한다.

또 다른 문제는 70억여원을 들인 시공사의 설계도가 무시되고, 2억원 정도로 대학 측이 만든 설계가 반영되는 과정이다. 시행사가 지난 해 6월 대학 측에 설계에 반영할 의견을 달라고 할 때는 구체적인 의견을 주지 않다가 최종 설계 단계에서 대학 측이 도면 전체를 흔든 것이다. 이 문제로 최소 4개월 이상을 허비했다고 한다.

◇도화지구 도시개발=예상되는 가장 큰 문제는 개발예정지 내에 있는 임차인 보상이다. 이미 200여 가구 주민들은 임차인연합회를 구성했고, 50여 개 업체는 도화상공인연합회를 결성했다. 임차인들은 대학 측과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소유권을 이관받은 시행사에서 이주대책을 세워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추가 보상이 이뤄질 경우 막대한 사업비 추가부담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전문대·인천체고 등 학교 재배치=전문대 측은 자신의 의견이 재배치 도면에 반영이 되지 않았다고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시와 대학·전문대, 시행사, 시공사 등 관련기관이 모여 실무협의회를 구성키로 합의했으나, 전문대 측은 아직도 운영위원을 누구로 할 것인지 결정하지 않고 있다. 나머지는 모두 선정했는데, 전문대 때문에 실무협의회가 꾸려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 시행사가 시교육청에 960억원 정도를 주기로 한 초·중·고 재배치 문제도 핵심인 인천체고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545억원 규모로 총사업비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인천체고를 어디에 세워야 할 지 대상 부지조차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