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저장탱크 10여기가 인천에 위치해 있지만 인허가 권한은 산업자원부가 쥐고 있다. LNG 저장탱크가 국가기간시설이라는 점에서 지역사회가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은 거의 없다.
LNG 저장탱크에서 메탄 누출이 최초 확인된 것은 지난 2005년 9월 28일. 만일 대형 폭발·화재사고가 발생하면 피해를 입는 것은 인천이지만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지역사회는 메탄 누출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 이날 회의에서 감지된 '미묘한 신경전'은 지역사회에 '피해의식' '불신' 등의 감정들이 쌓여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지역사회에 쌓인 '피해의식' '불신' 등의 감정은 위원장 선출 과정에서부터 나왔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정작 피해를 보는 것은 연수구민·시민이나 안전체제와 보고채널이 확보되지 않았다"며 "시가 책임을 지고 이끌어 나가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심성근 산자부 에너지안전팀장이 회의를 이끌어 가며 투표 방식을 제안하자, 황용운 연수구의원은 "산자부 팀장이 (위원장 적임자를) 얘기하면 부적절하다. 가스공사 3표는 적절하게 의사를 표현하는데 문제가 있을 것"이라며 견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위원들은 관이나 시민단체보다는 중립적 성격이 강한 학계가 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을 조율했고, 결국 표결을 통해 김종보 인하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협의회 명칭을 결정하는 부분에서도, 지역사회는 보수작업과 메탄누출 원인 규명에만 초점이 맞춰지는 것을 우려했다. 조강희 인천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협의회는 가스 누출 발생 원인 규명과 더불어 재발방지·안전운영안 등을 논의해야 한다"며 "명칭에 이런 내용이 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인천LNG생산기지안전대책협의회'로 결정되기 이전 가칭은 '인천기지탱크보수추진협의회'였다.
신은철 인천대 교수는 "LNG기지가 인천에 있으나 치외법권 지역이었다. 인천은 접근이 어렵다"며 "이런 우려때문에 시민단체가 안전·보고체제를 갖추자고 하는 것이다"고 했다.
메탄 누출 원인이 지반 침하에 의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다. 황 구의원은 "매립지에 저장탱크를 건설한 사례가 있냐"고, 신 교수는 "인천은 원래 갯벌이 있는 곳에 지은 것이다"고 했다. 이에 가스공사측은 "60~70 땅을 파서 일부 암반이 나오지 않는 곳에는 파일을 박고, 콘크리트로 지반을 다졌다"며 "지속적으로 지반 침하를 측정하고 있으나 이런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김 위원장은 "매립지는 수분이 많을 것이다. 암반이 있어도 저온일 때는 부피가 늘어나 저장탱크를 압박할 수 있다"며 "이런 부분도 점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가스공사는 차기 회의 일정과 안건을 위원장·간사들과 상의해 위원들에게 보고하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원인을 규명하고 안전대책을 마련한 뒤 이를 알리고 재발방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며 "추후에는 법률적 조치와 보고체제 확립 등도 다룰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위원회나 특별위원회 구성이 언제가는 필요할지 모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