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국가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는 기업들이 떠나가고 있다. 산업자원부와 산단 관리공단의 관리 부재와 관리 주체간 갈등으로 인해 반월산단은 방치되다시피 하고 있다. 공장이 떠난 빈 자리는 영세한 공장들이 임대로 자리를 잡거나 그대로 방치돼 있는 상황이다. 예전 경제성장 동력의 대표 주자였던 반월산단이 이제 찬밥신세가 돼 '불꺼진 산업단지'라는 오명을 안고 있을 정도다.

반월산단의 관리는 산업단지관리공단에서 맡고 있으며 안산시는 도로, 주차시설 등 각종 도시기반시설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관리공단에서 하는 일은 고작 자체 건물을 갖고 임대수익만을 올리고 있을 뿐 이렇다 할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동안 반월산단은 법령의 개정으로 실수요자가 아니더라도 단지내 입주가 가능하게 됐고 이때문에 소규모 영세공장들이 임대로 입지하게 돼 단지의 구조마저 바뀌고 있다. 이같은 변화는 임대기업들의 임대료만 올려 놓는 꼴이 됐다.

최근 수도권 산업단지에 입주하는 업체들이 IT와 BT업종으로 바뀌고 있는 반면 반월산단은 전기·전자, 철강과 기계, 석유화학 등 일반 제조업종이 전체 70%에 이르는 등 경제여건의 변화에 발맞춰 구조적 변화를 꾀하지 못하고 있다. 산업단지 관리 부재에서 나오는 문제점일 것이다. 산업단지의 사후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공단측이 구조적 발전 운영 방안을 마련하지 않은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지켜보고 있는 안산시는 급기야 산단의 관리권을 시로 이전해 줄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안산시가 관리권 이양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시 생존권의 문제다. 베드타운으로 남을 것이냐 아니면 자족기능을 갖춘 도시로 남을 것이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현재의 반월산단은 안산시의 입장에서 골칫거리이며 시의 경제에 이렇다 할 기여를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반월산단은 시화산단과 더불어 수도권 최대의 산업단지다. 그러나 이처럼 천덕꾸러기 산업단지에서 효자 산업단지로 거듭 태어나기 위해서는 관리주체에서 경쟁력 있는 구조로의 변신을 이끌어 내야 한다. 떠나는 기업, 파산하는 기업, 영세 임대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반월산단의 성장화를 위해 관리공단의 자구적 노력이 뒷받침 돼야 한다. 아니면 관리주체를 지자체로 이관하는 방안도 정부는 심각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