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수협과 어업인 그리고 수협중앙회가 '수산물가공물류센터'의 건립을 놓고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인천 연안부두에 연면적 3천500여평의 수산물가공물류센터를 올해 착공하여, 2009년까지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총 220억원중 국고가 50%지원되는 사업이다. 수협중앙회는 수도권 지역에 학교급식 및 군납용 수산물 가공 전담기지를 건립하고, 지역별 배송기지를 운영하도록 한 해양부 감사 결과를 추진 배경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 역시 연안부두 주변에 '수산물 종합유통센터' 조성사업을 지난해 6월부터 추진하고 있다. 시는 전국 활어유통의 30%를 차지하고 있는 인천활어도매조합이 시설과 위생적인 면에서 한계에 도달했다는 점과 종합어시장·3개 지역수협의 공판장·활어도매조합· 수입 수산물 집하장 등 물류기능 시설을 갖춘 센터의 건립 필요성을 추진 배경으로 들고 있다. 현재 조사용역을 수행중이며, 사업비 2천53억원을 투입하여 2012년까지 건설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인천수협은 수협중앙회가 추진하고 있는 건립 원안에 대해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수협중앙회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천공판장을 운영하면서 지난 30년간 수백억원의 이익을 챙겼지만 정작 지역수협은 운영이 더욱 어려워졌고, 향후 지역 수협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잡는 어업의 한계와 위판사업의 위기도 내재되어 있다. 또한 수산물 가공·유통 시스템의 근본적 변화 필요성과도 직결되어 있다. 같은 지역에 유사기능을 지닌 수산물 센터가 동시에 들어서는데 대한 중복투자 시비 논란도 피할 수 없다.
그렇다면 상생의 방법은 무엇인가. 첫째, 위기의 어업인과 지역수협의 경영 안정을 위해 수협중앙회와 인천시가 센터를 공동으로 조기 건립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각종 수산물 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센터 운영에 수협과 조합 등이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셋째, 센터를 가공수산물의 메카로 육성하는 동시에 각종 급식 사업에 인천지역수협이 반드시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국민의 건강을 우선하고, 어업인의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정책을 찾아내는 일이다. 위생적 시스템 구축은 물론 이를 대변하는 브랜드 개발 전략을 위해 관련기관들이 마음을 열고 해법을 찾아야 할 때다.
해법 절실한 인천수산물센터 건립
입력 2007-03-20 19: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7-03-21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