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인프라를 기반으로 우수 중소기업들이 몰려 있는데다 기업들의 특허에 대한 관심도 높고 등록건수도 서울에 이어 많아 자금력있는 기업들이 군침을 흘리고 있다.
29일 특허청 및 도내 기업들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지역에서는 전국 특허등록건수중 35.5%에 해당하는 3만1천716건이 접수됐다. 이는 서울(3만5천521건)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수치로 전년과 비교해서 47%가 급증했다.
지난 1998년 특허신청건수가 1만건을 돌파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 그 등록건수가 3배까지 늘어났다. 특히 경기지역의 경우 기업활동이 활발해 90%이상이 기업특허에 해당된다는게 특허청의 설명이다.
이처럼 도내기업들의 특허활동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경기지역에 대기업 및 외국기업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 대기업관계자는 "경기도는 전국 3분의1에 해당하는 기업이 몰려 있고, 우수한 특허기술을 갖춘 업체를 살피다보면 도내 기업들이 많은게 사실"이라고 강조하면서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M&A하는 경우 특허권이 매우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는데 이런 점에서 경기도는 관심지역일수 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경기지식재산센터 관계자도 "아직 도내 기업이 대기업에 특허 먹잇감이 돼 피해를 본 사례는 없지만 가능성으로 따지면 우수특허 보유기업들이 많아 해당 사례가 발생할 소지가 크다"고 주장했다.
외국기업들의 특허공략도 거세다. 특히 중국진출이 활발한 도내 기업들의 특성을 감안할때 그 위험성은 더욱 높다.
지난해말 산자부와 특허청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진출기업 45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18.8%인 85개 기업이 특허를 비롯한 산업재산권에 대해 중국인 또는 중국 현지기업으로부터 침해당해 분쟁이 발생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가장 많이 침해 또는 분쟁이 발생한 업종은 자동차·운송기계업종(43.8%)이었고, 식품·음료·주류업종(30.4%)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 2004년 중국에 진출해 불량 PCB수리사업을 하고 있는 G사. 후발업체들이 해당 특허를 침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만 이렇다할 대응을 하지 않았다. 특허로 의심되는 기업이 대만에도 있지만 워낙 품질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다보니 대응을 자제했다. 하지만 최근 PCB단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해 경쟁력이 심각하게 위협받는 상황에 처하자 법적 대응을 모색중이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에는 '특허트롤'(Patent Troll)이라는 개념까지 생겨나 어려움이 더하다. 특허트롤은 기술개발과 관련없이 특허권만으로 소송을 일삼는 기업 및 단체, 개인을 통칭하는데 그 피해가 엄청나다. 도산한 기업과 소규모 기업의 특허권을 경매나 인수합병을 통해 확보한 뒤 오로지 특허 로열티만을 챙기기 위한 소송과 라이센싱을 겨냥한다. 제품을 생산하지 않더라도 수익을 낼수 있어 외국기업들이 국내시장 공략에 흔히 사용한다.
이동기 변리사는 "아직 전문업체가 국내 상륙하지는 않았지만 우수한 원천기술 보유업체가 많아 국내시장 상륙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이미 국내에서도 몇몇 개인 및 기업들이 비슷한 양상의 활동을 벌이는 만큼 중소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특허를 관리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