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사는 줄어들고 그나마 남아있는 회원사마저도 회비를 제대로 내지 않아 걱정입니다."

도내 경제관련 단체들이 갈수록 저조해지는 회비 징수율과 회원확보 부진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수익사업을 통해 돌파구를 찾고 있지만 타 기관 및 단체와 겹치는 것이 많아 수익을 내기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11일 경기지역 경제관련 단체들에 따르면 최근들어 재정상황이 악화되거나 회원확보에 제동이 걸린 단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갈수록 영세업체들의 경영난이 악화되고, 회원 관련 제도도 강제조항이 폐지되고 있는데다가, 알짜 기업들이 수도권 규제를 이유로 지방행을 택하는 등 악재가 겹치고 있기 때문이다.

도내 21개 상공회의소의 경우 오는 2011년 회원운영제도가 당연직 회원제(매출액 일정 기준 이상 기업은 의무가입하는 제도)에서 완전 임의가입제(기업이 자율적으로 경제단체 가입을 선택하는 제도)로 변경을 앞두고 회원관리 및 수익사업 찾기에 비상이 걸렸다. 제도가 변경될 경우 회원 및 회비의 급격한 감소로 그 기능과 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난해말 폐지예정이던 상공회의소의 당연직 회원제가 그나마 4년 연장돼 대응책 마련에 시간이 생겼지만 여의치 않다.

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이미 많은 도내 상공회의소의 회원사 이탈이 이어지고 있으며 수익사업도 이렇다할 대안이 없는 실정"이라며 "그나마 검정료와 일부 임대료가 수익사업인데 장기적으로는 불안감이 있어 고민만 쌓인다"고 말했다.

한국여성경제인협회 경기지회도 현재 150개 정도의 회원업체를 두고는 있지만 지역 비중에 비해 회원업체가 부족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신임 지회장은 올해 지역의 기업들에 대해 가입을 적극 유도하는 등 노력으로 회원사를 200개 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설명했지만 녹록지만은 않아보인다.

경기벤처협회도 3천여개에 달하는 회원사를 관리하느라 여념이 없지만 회원사들의 회비납부율이 저조해 울상이다. 최근에는 그나마 수익사업으로 아파트형 공장을 분양하고 각종 지원사업을 벌이는게 협회 운영에 도움이 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 협회 관계자는 "가입비만 내고 회비를 납부하지 않는 기업들이 늘어 관리하려 하지만 강제조항이 있는 것도 아니고 사실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