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전국 55개 선거구에서 재·보선이 실시된다. 일전에 본란은 재·보선 외면하면 유권자만 손해라는 제목으로 4·25 재·보선 해당지역 유권자들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를 촉구한 바 있다. 하지만 예상대로 투표율이 낮을 것이란 전망이다. 재·보선의 낮은 투표율과 유권자들의 무관심이 어디에서 연유하는지는 이미 오래 전에 답이 나온 상태다. 구태를 못 벗는 정치권에 대한 국민의 혐오증이 그것이다.
그렇지만 정당이나 정치인들 노는 꼴이 한심한 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번 재·보선도 그렇다. 여당없는 여권은 이합집산에 정신이 팔려 후보조차 제대로 내지 못한채 허둥지둥이다. 지지율이 50%를 넘나드는 한나라당은 당내 대권주자들이 당보다는 본인을 앞세운 유세대결로 선거의 본말을 뒤집어놓았다. 당대당 대결 구도가 안잡히니 유권자들의 중요한 선택기준 하나가 사라진 셈이다. 더군다나 그나마 깨끗해졌다는 선거판에 한나라당은 도의원 돈 공천 파문을 일으켜 '뼈를 깎는 자성'이 공허한 수사에 불과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니 유권자들은 이꼴 저꼴 보기 싫고, 이놈 저놈 뽑아봐야 똑같다는 자포자기에 빠질 만도 하다.
그럼 이대로 방치할 건가. 그건 아니다. 사정이 이럴수록 주인의 적극적인 개입과 간섭이 필요하다. 주권은 '그럼에도 행사'해야 할 권리다. '그래서 포기'한다면 주권의 침해와 국민과 국가이익의 침해라는 결과를 낳을 뿐이다. 유권자의 냉소와 혐오를 초래한 정치권도 문제지만, 그런 정치권을 냉소와 혐오만으로 방치하는 주권포기 행태도 큰 문제다. 일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번 재·보선은 잘못된 선거를 교정하는 선거다. 한번 잘 찍었으면, 낭비하지 않아도 될 해당 지역 주민들의 혈세가 들어가는 선거다. 돈이 아까워서라도 두 눈 부릅뜨고 재·보선의 씨앗을 뿌린 정당과, 사람들이 누구인지 책임을 묻고, 최선의 인물을 선택해야 한다.
주권의 행사와 포기를 선택하는 것은 당연히 개인의 몫이다. 하지만 포기하는 개인이 늘어나 공동체의 이익을 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면, 이를 개인의 권리로만 이해할 일이 아니다. 내가 던진 한 표가 내가 속한 공동체의 발전에 큰 힘이 된다는 걸 깨달아야 한다. 내일이 재·보선이다. 설혹 급한 사정이 있더라도 빠짐없이 투표해야 한다. 주권의 확인만큼 급한 사정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재·보선, 포기해도 좋은 선거 아니다
입력 2007-04-23 2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7-04-24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