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17일 시험운행까지 시행이 유보됐던 남북 경공업·지하자원개발 합의서가 사실상 발효됨에 따라 남북 경협이 새 국면으로 접어들게 된 가운데 평화 프로세스의 가동이나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다.
향후 남북관계는 크게 경협과 평화의 두 가지 측면이 관전 포인트다.
경협을 보면 이번 시험운행으로 6·15공동선언 이후 3대 경협으로 불렸던 금강산관광, 개성공단, 철도도로 연결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 만큼 경공업·지하자원 협력을 계기로 신(新) 경협의 막이 오른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올해부터 북측에 의복류, 신발, 비누 등 3대 경공업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유상 제공하면 북측은 지하자원 개발협력에 따라 생기는 생산물과 지하자원 개발권, 기타 경제적 가치로 갚는다는 게 골자다.
구체적으로는 올해 8천만달러어치의 원자재를 주면 북측은 먼저 연내에 대가의 3%(240만달러)를 아연괴, 마그네사이트 클링커로 갚고 나머지는 5년 거치 후 10년간 원리금(연리 1%)을 균등 분할해 상환하게 돼 있다.
합의서가 발효되면 다음 달 25일부터는 북측 검덕, 룡양, 대흥 등 3개 광산에 대한 남북 공동조사에 들어가고 같은 달 27일에는 경공업 원자재를 실은 첫 배가 북으로 향하게 돼 있다.
이보다는 시험운행이 개통과 정기운행을 몰고 올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 상태다.
정부는 서울~평양 개통을 최종목표로 삼은 3단계 접근을 추진 중이지만 먼저 개성공단 물류 수송과 북측 근로자 수송에 이용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남북이 이미 합의한 경협 사업도 속도를 낼 가능성이 높다.
경공업·지하자원 협력과 함께 신 경협을 구성하는 수산업, 농업, 임업, 한강하구모래 채취, 제3국 공동진출 등이 활발하게 논의될 전망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평화 프로세스 가동 여부가 핵심 관심사로 꼽힌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이 이 달 말부터 열리는 제21차 장관급회담에서 평화프로세스 가동을 목표로 구체적인 준비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최근 수차례 강조한 점에 비춰 그동안 경협에 비해 진전이 없었던 평화 노력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평화 프로세스의 정점은 역시 남북정상회담에 있어 보인다.
6자회담 상황이 급격하게 호전될 경우 6자회담 참가국 가운데 남북, 미, 중 등 4자 정상 회담이나 남북 채널을 통한 별도의 제2차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은 있다.
다자 정상회담과 남북정상회담의 핵심 의제가 평화체제라는 점에서 올 하반기 동북아 정세가 마지막 냉전의 섬인 한반도를 중심으로 소용돌이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하지만 6자회담과 뒤엉켜 있는 향후 남북관계를 예단하긴 힘들다.
남북관계에 대해 속도조절론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 비춰 볼 때 어느 한쪽이 균형감 없이 속도를 내기는 어렵다고 보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