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구시가지를 정비할 때 도시 유형에 따라 다양한 정비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수도권정책센터 장윤배 책임연구원은 18일 '기성시가지 정비사업의 종합적 관리방안'이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를 통해 "효율적이고 균형있는 지역개발을 위해서는 경기도의 여건에 맞는 구시가지 정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장 연구원은 이를 위해 ▲도시 유형에 따른 다양한 정비방식 적용 ▲신규 택지개발 사업과 연계한 구시가지 정비 ▲지역 특성을 반영한 도시 콘텐츠 차별화 ▲균형 발전을 위한 정비사업 추진 등 네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장 연구원은 "신규 택지개발과 구시가지 정비를 연계하면 신·구도시의 균형발전 및 원주민 재정착 문제 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며 "또 현재 정비사업이 수원, 성남 등 규모가 큰 일부 도시에 편중되고 있는 만큼 개발 여건이 좋지 않은 중소규모 도시에 맞는 새로운 정비방식을 개발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현재처럼 아파트 건립, 사업성 확보를 위한 상업지 계획 등 지역마다 획일적인 내용으로 정비가 이뤄질 경우 미분양 사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역별 역사·문화자원과 자연환경에 따라 차별화된 콘텐츠로 정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도시의 규모와 일반시, 도농복합시 등 도시의 성격을 고려해 도시정비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한 정비, 지구단위 계획이나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의한 정비, 민간 중심의 정비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