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공사 김창연 경기지역본부장(사진)은 "U-시티의 도입은 전세계적인 신도시 개발모델을 선보인 것"이라며 "다만 완벽한 U-시티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과제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U-시티 사업이 도시내 신도시 개발구역에 국한돼 있어 도시 전체로 연계 확산하기 위해서는 해당 자치단체의 도시계획과 정보화계획의 공유가 절대적이다"고 강조했다.
신도시 개발 접근 방식도 변화의 대상이다.
현행 국토기본법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주민공청회, 지방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택지개발 지정시 거치는 주민 의견수렴이 명시돼 있지만 모두가 행정주도형이어서 진정한 주민들의 목소리를 개발계획에 반영할 제도적인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래의 신도시는 '주민참여형 개발모델'의 새로운 법적 틀을 만들어야 한다고 김 본부장은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자치단체와 주민간의 협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구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커뮤니티를 통한 신도시 개발 주민 공동공람, 도시계획 제안제도 등의 참여를 활성화하고 해당 지역의 문화 및 역사적 특수성 등을 고려한 전문가 그룹의 자문은 신도시 개발시 반드시 반영돼야 할 사안인 것이다.
김 본부장은 "토지공사가 자치단체와 맺고 추진하고 있는 지역종합개발사업은 이같은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좋은 사례로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라고 말했다.
그는 또 "신도시 주거공간 배치도 향후 3기 신도시는 획일적인 공동주택 개발보다는 환경친화형 저층 주택과 교외형 주택 건설위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는 신도시 조성정책이 차단녹지조차 고려치 않고 이어져 가는 대단위 신도시 조성보다는 허브 신도시를 중심 축으로 한 연계망식 미니 도시 건설, 해당 자치단체의 도시개발계획에 부응하는 지역밀착형 신도시 건설이 이뤄져야 한다.
아울러 미래 신도시에서 정착돼야 할 핵심 인프라는 안정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에너지원 확보다. 석유 등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하고 태양열과 지열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은 토지공사가 평택 소사벌 택지지구에 국내 처음 도입한 것으로 향후 모든 신도시에 적용돼야 할 시설로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