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들이 잇따라 무너지고 있다. 주택건설 전문업체인 세종건설이 지난 5일 부도처리됐고, 지난 6월에는 시공능력평가 57위의 중견건설사인 신일이 부도를 냈다. 전국에 미분양된 아파트가 9만가구를 넘어섰다고 한다. 또다른 건설업체들의 연쇄 부도가 우려되는 등 건설업계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시장을 안정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부도 마냥 팔짱만 끼고 바라볼 일이 아닌 것 같다.

중견 건설업체의 잇따른 도산을 지켜보는 건설업계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며 걱정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국에 미분양아파트가 9만가구를 넘어선 최악의 상황에서는 어느 업체가 언제 쓰러질 지 아무도 모른다는 우려에서다. 실제 신일과 세종건설은 어느 정도의 수준에 올라선 중견 건설업체였지만 지방에 지은 아파트들이 대거 미분양되면서 유동성 위기를 맞았고, 결국 이를 이겨내지 못해 좌초하게 됐다는 것이다. 세종건설의 경우 지난해 준공된 부산 문현동과 여수 문수동의 아파트 분양·입주실적이 예상보다 밑돌면서 갑자기 경영상 어려움에 직면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종건설은 특히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만 주력하다 미분양증가로 직격탄을 맞게 됐다는 분석도 있다.

문제는 앞으로도 공동주택시장이 더 얼어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점이다. 부동산업계는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면 미분양 아파트는 더욱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고 이는 건설업계 전반에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남양주 진접지구 동시분양의 경우 모델하우스 공개 당시 수만명의 인파가 몰려 관심을 끌었으나 막상 청약결과는 3순위에서도 무더기로 미달됐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상한제 대상인 중소형의 경우 10년씩이나 전매가 제한되다보니 투자수요는 물론 실수요자들 마저 외면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건설업계는 정부가 지금의 정책기조를 유지할 경우 줄도산이 불가피하다고 걱정하고 있다.

세종건설의 부도는 건설업체들이 처한 상황을 잘 보여주는 상징적인 대목이다. 정부는 줄도산을 걱정하는 건설업계의 아우성이 무엇인지를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부동산시장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큰 물줄기는 바꿀수 없겠지만 부분적인 손질은 불가피해 보인다. 내집을 사고 파는데 정부가 지나치게 간섭하고 사유재산권을 침해한다는 국민들의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세종사태를 계기로 정부가 부동산정책 전반을 되짚어 보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