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한계선(NLL)이 남북 정상회담 의제로 다뤄질지에 촉각을 곤두세웠던 서해 5도 주민들은 남북 정상이 공동어로수역을 지정하기로 합의한데 대해 대체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주민들은 어로구역 확대라는 기대감을 감추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어족 자원 고갈이나 새로운 어구 구입 등에 따른 주민 부담 가중 등을 우려하고 있다.

김광춘(45) 연평어촌계장은 "공동어로 수역을 지정한다니 조업 구역이 넓어져 기대는 크지만 우려도 있다. 후속 조치를 지켜봐야 알겠다"고 말했다. 현재 북한 선박은 대부분 5t 미만의 소형 선박인데 공동 어로수역이 지정되면 우리 어선보다 규모가 큰 중국 어선 등을 매입해 조업할 가능성이 큰 만큼 어족 자원 고갈이 가속화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최률(51) 연평면 주민자치위원장도 "북방한계선 인근은 수심이 50~60m 가량으로 현재 연평 어민들이 조업하는 해역의 수심인 10~20m보다 훨씬 깊어 현재 어구를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된다"며 "어구 구입 등에 필요한 어민들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최 위원장은 공동어로수역보다는 어족 자원 보호를 위해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하거나 바다목장화 사업을 펼치는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백령도 주민 김진원(60)씨는 "현재 인천항과 백령도를 오가는 연안여객선은 연평도와 백령도 사이의 북방한계선을 우회해 항해하면서 1시간30분 가량 더 걸린다. (이번에 합의된 해주직항로 처럼) 백령도와 연평도 구간을 직항할 수 있는 길이 열렸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