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숙원사업이었던 한강하구 개발이 곧 가시화될 전망이다.
한강하구는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 하류유역의 골재 채취 등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뛰어넘어 반세기 동안 인적이 끊겼던 곳인 만큼 남과 북이 만나는 미지의 땅이 열린다는 점에서, 향후 대북 전진기지는 물론 대중국 교역기지 역할을 담당할 가능성이 높아 보고(寶庫)로 평가받고 있다.

한강하구는 예부터 서울과 전라도 등 삼남지방 및 제주도, 북한지역은 물론 세계로 통하는 해로의 길목이었다.

이에 따라 도는 일찍이 한강하구와 임진강 일대에 대한 골재 채취나 준설계획을 추진해왔으나 군사적 이유 등 관계부처와의 협의 난항으로 기초적인 개발조차 착수하지 못한 상태다.

하지만 남북정상이 '10·4선언'을 이끌어 냄에 따라 한강하구 개발을 위한 물꼬가 트일 것으로 기대하며 건설교통부와 경기도, 김포시 등은 한강하구 개발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도는 통일부와 북한 간 실무작업이 끝나는 대로 건교부와 협의해 신종합발전구상인 '남북한 평화경제 특구' 조성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해 경기개발연구원에 용역을 진행하는 한편 남북교류협력사업단과 남북교류위원회 등을 통해 한강하구 개발을 위한 제반사항을 총점검하고 있다.

도는 우선 포구를 활용한 한강하구 물길 트기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한강하구 퇴적토를 준설하고 감암포 선착장을 설치할 경우 한강유람선의 24㎞ 연장운행이 가능, 수상교통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거 한강하구의 주요 물류거점 역할을 담당하던 포구인 용강포와 조강포 등을 재개발할 경우, 국내는 물론 남북을 연결하는 인적·물적 교류기지로 발돋움하게 된다.

또 한강하구 철책선 철거와 골재 채취 공동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도는 지난 5월부터 국방부와 협의해 약 562억원을 들여 고양 행주내동~일산대교(이산포IC) 구간 21.9㎞와 김포 고촌면 신곡리~운양동(일산대교까지) 구간 10.6㎞ 2곳의 철책을 철거하기 위한 준비작업에 이미 돌입한 상태다.

마지막으로 한강하구 골재 채취 공동개발은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군사분계선을 연결하는 남북한의 경계선 인근지역인 한강, 예성강, 임진강 합류 지점(사천강 하류지역 포함)에 걸쳐 진행할 계획이다.

하구유역 면적만 김포와 파주, 북한 개풍군까지 495㎢에 달하고, 골재 매장량도 10억8천만㎥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간 수도권 골재수요가 4천500만㎥인 점을 고려할 때 국내 골재난을 해소하고도 남는 양이다.

그러나 한강하구 일부는 비무장지대인데다 지뢰매설 등으로 군사작전상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고, 생태보전가치마저 높은 지역이어서 개발 및 접근 방식의 선택에 있어 각별한 주의를 요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이삼희 책임연구원은 "선진국 중 수도권의 하천을 사실상 방치한 곳은 우리나라밖에 없을 정도로 유일무이하다"며 "한강하구 개발은 눈앞의 경제적 이익보다는 향후 우리 후손에게 물려줬을 경우 얻게 될 유·무형의 자산을 고려할 때 반드시 추진돼야 하기 때문에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