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우 식 과기부총리>
참여정부 출범 이전까지 대학에서 한 평생을 보낸 전형적인 학자 출신. 61년 연세대 화공과 졸업 후 잠시 기업에 몸담은 것을 제외하고 68년 공대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학생처장, 대외부총장을 거쳐 2000년 연세대 총장에 올랐다.
 특히 80년대에는 학보사 주간과 학생처장을 지내면서 학내 운동권의 보호자 역할을 했고, 현정부 출범과 함께 연세대 출신 386 인맥이 정권의 핵심으로 약진하면서 이들과의 인연 등이 계기가 돼 2004년 2월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발탁됐다.

 지난해 8월까지 1년6개월간 비서실장으로 장수하는 동안에는 보수적인 인사들까지 두루 만나며 노무현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진의를 알리는 등 청와대내 진보와 보수의 가교역할을 수행하면서 합리적 관리형 비서실장의 전형을 보여줬다는 평가도 받았다.
 ▲충남 공주(66세) ▲강경상고 ▲연세대 화공과 ▲연세대 총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 ▲청와대 비서실장


<이 종 석 통일부장관>
 자타가 공인하는 참여정부 외교·통일·안보분야의 정책통이자 북한문제 전문가.
 참여정부 출범 이후 지난 3년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을 맡아 참여정부의 외교·통일·안보 정책의 입안, 성안, 집행 전 과정에 참여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한미동맹, 이라크 파병, 자주국방 등 굵직한 현안을 둘러싼 논란 및 갈등의 한가운데에 위치, '탈레반'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으며 참여정부 외교안보 분야의 '실세'로도 불려왔다.

 김대중 정부 때인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수행팀에도 참여했으며, '김일성 주체사상 연구 1세대'로 북한의 '로동신문'을 수년간 구독, 하루도 빠짐없이 스크랩한 것으로 유명하다.
 ▲남양주(48) ▲성균관대 행정학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대통령직인수위 외교통일안보분과 인수위원 ▲NSC 사무차장

<정 세 균 산자부장관>
 경제의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경제통으로 꼽히는 3선 중진 의원. 지난해 1월 국가보안법 등 '4대 입법' 처리 실패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천정배 전 원내대표의 바통을 이어받아 원내사령탑에 올랐다.
 특히 작년 10·26 국회의원 재선거 패배 이후 과도체제 사령탑을 맡은 뒤 당내 갈등수습과 각종 정국현안 처리 과정에서 외유내강형 리더십과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줘 후한 점수를 받았다. 고려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쌍용그룹에 입사해 상무까지 지냈다.

 노무현 대통령이 후보시절이던 지난 2002년 대선 선대위 정책기획위원장을 맡았고 민주당과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도 지내는 등 정책사이드에서 역량을 발휘해 왔다.
 ▲전북 장수(55) ▲고려대 법대 ▲15·16·17대 의원 ▲연청중앙회장 ▲민주당 정책위의장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 ▲국회 예결특위위원장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비상집행위 의장


<이 상 수 노동부장관>
 재야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국회의원 3선 경력의 참여정부 '개국공신'중 한명.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민주당 노무현 후보의 선대위 총무본부장으로 참여, 당내에서 입지가 약한 노 후보를 적극 지지했으며 열린우리당 창당 작업을 주도했다.
 참여정부 출범 이후 불법대선자금 사건에 연루돼 옥고를 치렀고, 사면복권후 정치적 명예회복을 위해 지난해 10·26 재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는 불운을 겪기도했다.

 온건, 합리적인 성품으로 85년 한국노동상담소를 개설하고 86년 부천서 성고문사건 주임 변호사를 맡는 등 인권활동에 주력했으며 88년 재야영입 케이스로 평민당에 입당, 정치권에 진출했다.
 ▲전남 여수(59) ▲고려대 법대 ▲광주지법 판사 ▲87년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민권위원장 ▲평민당 대변인 ▲민주당 총무 ▲13·15·16대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