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사회에서 인사 교류를 둘러싼 '감정의 골'이 깊어지고 있지만 인사 교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는 분위기다.

현재 경기도는 31개 시·군뿐 아니라 중앙부처, 외부기관 등과도 인사 교류를 하고 있다. 인력의 균형있는 배치를 통한 행정력 향상과 공무원 자기계발 기회 등이 인사 교류가 필요한 이유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만약 도와 시·군 사이에 인사 교류가 중단된다면 폐쇄적인 조직 문화에 갇혀 경쟁의식이 사라질 것"이라며 "정보 교류가 차단되고, 지역현안 해결에 필요한 예산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도에서 근무하면 시·군의 테두리에서 보던 시각이 도 전체로 확대되고, 마찬가지로 중앙부처에 가면 국가 전체를 아우르게 된다"며 "이것은 공무원 개개인에게는 엄청난 차이"라고 인사 교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전공노 역시 '낙하산 인사 관행이 도와 시·군간 인사 교류의 취지를 무시하고 있다'고 밝히는 등 인사 교류의 취지는 인정하고 있다.

민선 이후 도와 시·군간 인사 교류가 거의 중단됐던 충청북도가 최근 이를 부활시키려는 것은 인사 교류의 필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충북은 이달초 열린 부시장·부군수 회의에서 도와 시·군간 1대 1 파견근무를 다시 시작하기로 내부지침을 정했다. 내년부터 이뤄질 인사교류는 12개 시·군에서 5급과 6급 공무원 중 1명을 도에 파견하고, 도 역시 해당 시·군에 1명을 보내는 방식이다. 교류 근무 기간은 1년이고, 교류 기간이 끝나면 파견 공무원은 도나 해당 시·군으로 자동 복귀하게 된다.

충청북도 관계자는 "시장·군수협의회 때마다 많은 시장과 군수들이 인사 교류 중단으로 인한 폐해를 토로해 왔다"며 "인사 교류가 지방공무원의 능력 향상과 도와 시·군간 상생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 최대의 공무원 조직을 갖춘 서울시 역시 광역-기초단체간 인사교류에 적극적이다.

특히 서울시 관계자는 "상·하반기에 한차례씩 정기적으로 자치구간 인사 교류를 하고 있다"며 "각 구별로 5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을 추리면 이들이 가고 싶은 곳을 5순위까지 적어낸 뒤 구별로 매칭시키는 방법을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